추운 겨울과 기승을 부리던 꽃샘추위도 지나고, 어느새 새싹이 돋아나 개나리, 벚꽃 등 화사한 봄꽃이 가득한 4월이 되었다. 지금 거리는 따스한 볕과 푸르른 녹음을 즐기며 봄을 느끼는 사람들로 가득하지만, 106년 전 이때 상하이에서는 활짝 핀 봄꽃보다 더 찬란한 독립을 향한 소망이 피어났다.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문 발표와 함께 ‘대한독립만세’의 함성이 전국에서 울려 퍼졌고, 이를 계기로 우리 민족의 독립에 대한 염원은 더욱 강렬해졌다. 이후 자주독립을 위해 체계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할 필요성을 느낀 독립운동가들은 같은 해 4월 11일,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임시정부는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인 ‘민주공화국’을 천명하였으며, 국민의 자유권과 평등권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등 하나의 독립운동 단체가 아닌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정부로서의 역할을 국내외에 선포했다.
임시정부는 설립 이후 일제의 갖은 억압 속에서도 군사‧외교‧교육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며 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육군무관학교를 설립하여 무관 양성에 힘썼고, 한인애국단을 조직해 이봉창‧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는 등 수많은 항일독립투쟁을 벌였다. 1940년에는 한국광복군을 창설하고 미국 전략첩보국(OSS)와 함께 국내 진입 작전을 추진하는 등 연합국과 공동작전을 벌이기도 했다.
특히 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해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고, 여러 나라에 외교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국제사회에 독립운동의 당위성을 알리고, 세계 각국으로부터 정부 승인을 얻기 위한 외교활동에 힘썼다. 또한, 교민 등을 대상으로 민족 교육을 실시하고, 독립신문을 발간하는 등 국민을 위한 교육, 문화 등 다양한 사업도 추진했다.
이로 인해 임시정부는 일제의 강력한 보복과 탄압을 겪어야만 했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목숨을 잃고 다치는 등 희생이 뒤따랐다. 하지만, 임시정부 요인들은 난징, 광저우, 충칭 등 수차례 중국 대륙 내에서 청사를 이동하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독립운동을 펼쳤고, 마침내 우리는 꿈에 그리던 광복을 맞았다.
이처럼 광복은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니며, 우리 민족의 끊임없는 투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 치열했던 독립운동의 중심에 있었던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단순히 과거의 유산이 아닌 일제에 항거한 민족적 의지를 상징하며, 오늘날 대한민국의 초석이라 할 수 있다.
선조들이 간절히 바라던 광복, 그 80주년을 맞는 특별한 해에 조국의 자유를 위해 평생을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다시 한번 마음에 새기고, 그 정신을 현재와 미래로 이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