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5-13 15:07:19

이철우 지사 APEC개최, 구글협력 구축했다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82호입력 : 2025년 05월 13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Asia-PacificEconomic Cooperation)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협력과 증대를 위한 역내 정상들의 국제협의기구다. 세계 인구의 40%(30억 명) 정도를 차지한다. GDP(국내총생산)는 62%다. 교역량은 50%를 차지한다. 세계 최대 지역 협력체다. 1989년 11월 캔버라서 한국·미·일본·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뉴질랜드와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동남아시아국가연합) 6개국 등 총 12개국이 참여했다. 이게 제1차 회의였다.

1993년부턴 정상회의(Summit)로 격상시켰다. 역내의 배타적 이익보단 EU(European Union:유럽연합)나 NAFTA(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북미자유무역협정) 등의 배타적 움직임을 견제한다. 조직은 각료회의, APEC 자문위원회, 예산운영위원회, 무역투자위원회, 경제위원회 등이다. 비전은 아시아태평양 공동체 등의 달성이다. 또한 경제 성장과 번영이 목표다. 공동체 비전 달성을 위한 이행 프로세스는 무역투자 자유화(TILF:Trade and Investment Liberalization Facilitation)등이다. 비즈니스 원활화(BF:Business Facilitation) 등은 3대 축의 하나다.

한국은 1991년과 2005년 2회에 걸쳐, APEC회의를 주최했다. APEC이 세계 인구의 40%를 차지한다. 게다가 GDP의 62%고, 교역량의 50%라면, 가히 세계 경제를 움직인다고 할 수가 있다. 이런 국제 경제의 정상들이 경북도로 온다는 것은 우리도 세계가 경제 발전의 한 몫을 담당한다고 할 수가 있는 대목이다.

2024년 6월 이철우 경북도 지사에 따르면, 2025 APEC정상회의를 계기로 경주가 다시 역사·문화·관광 도시로 거듭난다. 이어 자신의 페이스북에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가 경주로 결정된 큰 이유 중 하나는 타 도시와 비교해도, 1000년간 신라의 수도로 역사·문화에 강점이 있을 것으로 짐작한다’고 밝혔다. 이젠 짐작이 현실로 적중한 것은 이철우 도지사의 ‘지방 외교력’의 혜안(慧眼)으로 평가한다.

APEC 2025 KOREA 개최 준비에 경북도의 든든한 조력자는 글로벌 선도 테크(tech)기업인 구글(Google)이다. 지난 9일 경북도에 따르면, 구글은 도청서 이철우 경북 도지사, 양금희 경제 부지사, 크리스 터너 구글 글로벌 부사장, 황성혜 구글 코리아 부사장 등이 참석해, ‘상호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을 개최했다. 앞으로 지속적인 파트너십 구축에도 합의했다. 양해각서 서명은 경주에서 개최되는 APEC 2025 KOREA의 성공 개최를 위한 공동적인 형성이다. 경주를 중심으로 경북을 세계에 알려, 지역 관광 진흥에 획기적 전기의 마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지역의 디지털로의 전환이다. 더하여 도민의 인공지능 활용 능력을 높일게다. 2023년도엔 구글 클라우드(Cloud)와 AI인재 양성사업 협약도 체결했다. 경국대의 AI 진흥센터는 연간 100여 명 AI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구글 본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한, 경북도는 APEC의 성공적 개최와 지역 관광을 활성화한다. 지역경제 살리기에 구글이 새로운 게임 체인저(Game Changer)역할을 할 것이다.

구글은 미국 본사, 아시아 퍼시픽 본사(싱가포르 소재), 한국 지사 임직원이 대거 도청을 방문해, 경북과 협력관계 구축에 지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구글이 가진, 다양한 플랫폼으로 APEC과 경북은 서로가 상생한다. APEC 정상회의에선 생산 유발효과 9720억 원이다.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4654억 원이다. 7900여명의 취업 유발 효과 등 모두 2조원이 넘는 경제 효과를 가져 온다.

이철우 경북도 지사는 최고 경영자 회의(CEO Summit)에 순다 피차이 Google CEO를 정식으로 초청한다. 크리스 터너 구글 본사 부사장은 APEC 2025 KOREA의 성공적 개최를 이끈다. 경북도는 구글과 동행하고. 구글은 우리나라서 가장 큰 광역단체인 경북도와 우정을 나눴다. 물론 이때의 우정은 상호간에 경제발전을 위함이다. 이번 경북도와 구글은 더욱 돈독한 경제발전을 이끌어가길 바란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북남부보훈지청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13일 신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학생들과 함 
영천시농업기술센터 축산과 직원들은 13일 농번기 일손 부족에 작은 힘을 보태고자, 청통면 
영천시 영화초등학교 총동창회에서 지난 12일 경북지역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위해  
경주시 성건동 청년회는 지난 9일, 가정의 달을 맞아 지역 내 경로당 9개소를 방문해 어 
전국한우협회 예천군지부는 13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한우 국거리 130팩을 기부했다.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파크골프경영과, ‘재학생 파크골프대회’ 성료  
계명문화대, ‘서울국제푸드&테이블웨어박람회’서 전원 수상  
영남이공대, ‘서울국제푸드앤테이블웨어 박람회’서 대상  
국립경국대 축구동아리 ‘SPEED’, 창단 30년 만 전국대회 첫 우승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파크골프경영과, ‘재학생 파크골프대회’ 성료  
계명문화대, ‘서울국제푸드&테이블웨어박람회’서 전원 수상  
영남이공대, ‘서울국제푸드앤테이블웨어 박람회’서 대상  
국립경국대 축구동아리 ‘SPEED’, 창단 30년 만 전국대회 첫 우승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