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공정규 동국대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심포지엄에서 좌장을 맡아 종합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포항시 북구보건소 트라우마센터 제공 |
|
포항 북구보건소 트라우마센터가 지난 15일 북구보건소 대강당에서 ‘대형 재난이 바꾼 트라우마와 치유’를 주제로 ‘2025 포항시 트라우마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국가트라우마센터, 호남권트라우마센터, 안산마음건강센터 등 전국 주요 심리지원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각지 재난 현장의 심리 개입 사례를 공유하고, 실질적인 대응 전략을 나눴다.
이번 발표 내용에는 ‘이태원 참사’,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경북 산불’ 등 최근 국내 재난 사례들이 집중적으로 소개됐다. 심리적 회복을 위한 실천 전략과 대응 과정에서 마주한 한계에 대한 통찰도 함께 조명됐다.
발표자의 생생한 현장 사례에 이어 진행된 종합 토론은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며 심포지엄의 열기를 이어갔다.
좌장은 ‘힐링닥터’로 널리 알려진 사공정규 동국대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가 맡았다. 그는 발표자의 긴장을 풀어주는 편안한 진행과, 핵심을 간결하게 정리하는 정확한 언어 구사로 주목을 받았다.
사공 교수는 청중과 발표자 사이의 활발한 소통을 유도하며, 균형 있게 토론을 이끌었다. 그의 진행 방식은 복잡한 논의 내용을 쉽게 정리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공정규 교수는 “우리 사회는 대형 재난 속에서 깊은 상처를 입은 이웃들을 계속해 마주하고 있다, 우리는 여전히 재난을 미리 막고 그 아픔을 함께 어루만질 준비가 충분하지 않다”며, “트라우마 회복은 개인이 감당할 몫이 아니다. 국가기관과 지자체, 민간이 함께 손을 맞잡아야 한다. 치유는 공감에서 시작되고 연대 속에서 완성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개인과 사회 모두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이 아닌 ‘외상 후 성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