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사업 시행 모습.<안동시 제공> |
| 안동시가 지난 17일부터 ‘안동시 안부살핌 우편서비스’사업을 본격 시작했다.
해당 서비스는 ‘2025년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 서비스 개선모델 개발’공모사업에 신규 선정된 사업으로, 사회적 고립가구 및 복지 위기가구 고독사를 예방하고, 위기 상황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복지 모델을 만들기 위해 시가 우체국 및 우체국 공익재단과 공동으로 추진한다.
앞서 지난 2일, 안동시는 우체국 소속 집배원 80여 명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하고, 우체국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기반으로, 우체국 집배원이 사회적 고립가구를 월 2회 직접 방문, 생필품을 전달하며 생활실태를 점검하는 안부살핌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
우체국 집배원은 대상자를 방문해 생필품을 전달하는 동시에 ‘생활실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며, 이를 통해 파악된 위기 징후는 즉시 시에 전달된다. 시는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선제적 복지를 실현하고자 한다.
7월 첫 회차에는 무더위를 고려한 여름 안부키트(홈키파, 물티슈 등)가 제공됐으며, 사회적 고립가구의 안부 확인 및 위기 파악으로 고독사 예방에 기여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권기창 시장은 “안동시 안부살핌 우편서비스로 사회적 고립가구의 복지 안전망이 더욱 촘촘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주기적 방문을 통한 밀착형 복지서비스 제공으로 고독사 예방과 위기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
|
사람들
봉화 시각장애인 지원센터가 사각지대 이용자 발굴과 장애인 인식개선 및 시각장애인에 대한
|
한국4-H경산본부가 26일 농업인교육관에서 쌀소비 촉진 일환으로 쌀카스테라를 만들어 나눔
|
경산 북부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26일 건강음료 두유 50박스(100만 원 상당)를 취약계
|
울진 기성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25일 관내 취약계층 50가구를 대상으로 ‘마음 담은
|
청송 안덕면 맞춤형복지팀이 지난 25일 성재보건진료소에서 지역 보건·복지 관계기관과 함께
|
대학/교육
대구대 사범대학, 필리핀서 교육봉사 |
국립경국대, ‘2025 제조업 기반 빅데이터 분석 실무 과정’ 최종 발표회 |
대구한의대, 몽골 오르홍주 학생 초청 ‘K-MEDI 글로벌캠퍼스’성료 |
DGIST, 잉크젯처럼 뿌려 만드는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개발 |
영진 전문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2336명 선발 |
계명문화대, 파란사다리·해외현지연수 통합 성과발표회 ‘성료’ |
영남이공대, 결혼 이주여성 교육·취업 지원 광역 협력체계 구축 |
DGIST, 스트레처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개발 |
칠곡경북대병원 이인희 교수,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우수연구자상 수상 |
영남대병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8회 연속 1등급 |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대구대 사범대학, 필리핀서 교육봉사 |
국립경국대, ‘2025 제조업 기반 빅데이터 분석 실무 과정’ 최종 발표회 |
대구한의대, 몽골 오르홍주 학생 초청 ‘K-MEDI 글로벌캠퍼스’성료 |
DGIST, 잉크젯처럼 뿌려 만드는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개발 |
영진 전문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2336명 선발 |
계명문화대, 파란사다리·해외현지연수 통합 성과발표회 ‘성료’ |
영남이공대, 결혼 이주여성 교육·취업 지원 광역 협력체계 구축 |
DGIST, 스트레처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개발 |
칠곡경북대병원 이인희 교수,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우수연구자상 수상 |
영남대병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8회 연속 1등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