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지방선거 잠정 투표율이 13일 평균 60.2%로 집계돼 지난 2014년 제6회 지방선거 투표율(56.8%)보다 3.4%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체 유권자 4290만7715명 중 2584만1740명(잠정)이 투표에 참여했다. 지역별 투표율은 전남이 69.3%로 가장 높았고, 제주(65.9%), 경남(65.8%), 전북(65.3%)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인천(55.3%), 대구(57.3%), 경기(57.8%) 등은 평균을 밑돌며 저조한 투표율을 보였다. 이번 지방선거는 역대 최고 사전투표율(26.06%)을 기록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사전투표율(20.14%)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방선거 중 최고 투표율(68.4%)을 기록한 1995년 제1회 지방선거에 이어 23년 만에 투표율 60%를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됐다. 오전 시간대 투표율 상승세가 오후 들어 조금 꺾였지만 시간당 3%p 전후의 상승에 투표율은 60%를 넘길 수 있었다. 역대 지방선거에서 투표율은 2번째로 높다. 1998년 제2회는 52.7%, 2002년 제3회는 48.8%, 2006년 제4회는 51.6%, 2010년 제5회는 54.5% 등으로 50%대 초중반이라는 비교적 저조한 투표율을 보여왔다. 이번 지방선거와 함께 전국 12개 지역구에서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의 잠정 최종 투표율은 60.7%를 기록했다. 사전투표율 21.07%였다. 지역구별 투표율은 △서울 노원구병(61.7%), 송파구을(62.9%) △부산 해운대구을(57.9%) △인천 남동구갑(54.6%) △광주 서구갑(59.0%) △울산 북구(65.6%) △충북 제천시단양군(63.3%) △충남 천안시갑(48.8%), 천안시병(55.3%) △전남 영암군무안군신안군(71.5%) △경북 김천시(69.9%) △경남 김해시을(61.7%)이다. 한편,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의 최종 투표율은 개표가 모두 끝난 뒤인 14일 오전 중 확정될 예정이다. 정치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