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낙동강 상류 구미보의 수문을 24일 오전 9시을 기해 점차적(E.L 32.5m→25.5m)으로 개방했다고 밝혔다.
당초 환경부는 낙동강 상류 3개 보(상주·낙단·구미)를 지난해 10월 중순부터 개방해 관찰(모니터링)할 계획이었나 지자체·농민 등에서 농업용수 이용 장애 등의 우려를 제기함에 따라 보 개방 일정을 조정해 이날 개방하게 됐다.
그간 환경부는 보 개방에 따른 우려사항 해소방안을 지역사회와 함께 논의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우선 지하수 문제 발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보 개방 전 지하수 대책을 시행하는 등 문제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 이후 보 주변 지역의 지하수 이용현황을 조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하수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겨울철에도 사용되는 관정에 대한 대체관정을 개발하는 등 지하수 대책을 벌여왔다.
또 농업용수 이용에 장애가 없도록 양수장 가동 이전인 4월초에 차질 없이 수위를 회복할 계획이다. 이러한 사전조치에도 물이용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조속히 피해구제에 나설 방침이다.
아울러 환경부는 민·관협의체 및 설명회 등을 통해 이 같은 피해방지 대책과 보 개방 취지 등에 대해 지자체·주민 등과 지속적으로 소통했다. 특히 보 개방은 해체를 전제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 평가를 위한 실측 관측(모니터링) 자료 확보를 위해 일시적으로 개방하는 것임을 명확하게 설명했다.
구미보 인근 어패류 구제 및 수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위를 시간당 2~5cm 수준으로 서서히 내릴 계획이다. 2월 중 수문이 완전 개방돼 목표수위에 도달하고 3월중 수위 회복이 시작되면 양수장 가동기 전 관리수위로 회복 될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구미보 개방으로 확보될 관측(모니터링) 자료는 과학적인 평가 등을 거쳐 올해말까지 마련될 낙동강 보 처리방안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쓰일 예정이다.
홍정기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조사·평가단장은 “보 개방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현장과 소통하고 피해방지 대책도 철저하게 추진하는 한편 향후 낙동강 물 문제 해결과 함께 강 자연성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범수 기자 news121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