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4대강 16개 보 중 11개 보를 개방해 관측(모니터링)한 종합 분석한 결과, 녹조 및 저층 산소 부족 현상 감소 등 수질 개선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종합 분석한 11개 보는 금강 3개(세종, 공주, 백제), 영산강 2개(승촌, 죽산), 낙동강 5개(상주, 강정고령, 달성, 합천창녕, 창녕함안), 한강 1개(이포)다.
환경부는 2017년 6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약 18개월간에 걸쳐 11개 보를 관찰했다.
그 결과 보 개방시 체류시간 감소, 유속 증가 등 물 흐름이 크게 개선되고 수변 생태서식공간이 넓어지는 등 강의 자연성 회복 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수계 전체 수문을 전면 개방했던 금강과 영산강은 자정계수가 각각 최대 8.0배, 9.8배 상승하는 등 보 개방시에는 하천의 자정능력이 크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정계수는 보 개방시 하천의 수심이 저하되고 유속이 상승함에 따라 크며, 수계 전체를 전면 개방한 금강ㆍ영산강의 자정계수가 일부 보만 개방했던 낙동강, 한강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부문별로 보면, 수질의 경우 세종보·승촌보 등 최대 개방보를 중심으로 녹조 및 저층빈산소 발생이 감소하는 등 수질개선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 보 개방시에는 모래톱 등 생태공간이 확대 되면서 다양한 물새류와 표범장지뱀, 맹꽁이, 삵, 수달과 같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개방 이후 개방 전월 대비 백로류(텃새화된 물새류)의 개체수는 11마리에서 129마리로 한강 이포보에서 가장 크게 증가(11.7배)했다.
또 세종보, 창녕함안보 등에서는 유수성 어류가 증가하고 오염내성종이 감소하는 등 수생태계의 건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여름 극심한 가뭄과 고온으로 보 개방에 따른 녹조 저감 효과는 제한적이었다고 분석됐다. 또 낙동강의 경우에는 충실한 실측자료 확보를 위해 개방 폭과 기간을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올해부터 수질 등 분야별 측정주기를 단축하고 관측 지점·항목을 확대해 보 개방시 관측 자료를 최대한 확보하고, 수계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관측(모니터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범수 기자 news121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