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눈치 안보고 자기 잇속만 차리는 사람을 두고 우리는 흔히 얌체라고 한다. 인간사회의 얌체족이 선량하고 순박한 사람을 속이듯 이 나라 정치판에도 그런 사람들은 있다. 뻐꾸기는 남의 둥지에 알을 낳아 멍청한 박새가 한 계절 내내 헛고생하게 만드는 도가 지나친 얌체족으로 분류된다. 나무나라 제일 얌체는 누구일까? 나무의 생태를 조금 아는 이라면 오래 생각할 것 없이 겨우살이라고 할 것이다. 겨우겨우 간신히 살아간다 하여 겨우살이, 겨울에도 푸르므로 겨울살이가 겨우살이로 되었다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한자로 동청(涷靑)이라고 하니 겨울살이에서 유래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이 더 맞을 것 같다. 주로 참나무 종류의 큰 나무 위 높다란 가지에 붙어 자라는 ‘나무 위의 작은 나무’로서 멀리서 보면 영락없는 까치집이다. 모양은 풀 같지만 겨울에 어미나무의 잎이 다 떨어져도 혼자 진한 초록빛을 자랑하는 늘푸른 나무로 분류된다. 가을이면 굵은 콩알만한 노란 열매가 달린다. 가을 햇살에 비치는 열매는 영롱한 수정처럼 아름답다. 열매는 속에 파란 씨앗이 들어있고 끈적끈적하며 말랑말랑한 육질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어서 산새 들새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다. 배불리 열매를 따먹은 산새가 다른 나뭇가지에 앉아서 ‘실례’를 하면 육질의 일부와 씨앗은 소화되지 않고 그대로 배설된다. 마르면서 마치 방소성 접착제로 붙여놓은 것처럼 단단하게 가지에 고정된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끄떡없이 씨앗을 보관할 수 있는 철저한 얌체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겨우살이는 알맞은 환경이 되면 싹이 트고 뿌리가 돋아나면서 나무껍질을 뚫고 살 속을 파고 들어가 어미나무의 수분과 필수 영양소를 빨아먹고 산다. 그래도 일말의 양심은 있었던지 잎에서는 상당한 양의 광합성을 하여 모자라는 영양분을 보충해가면서 삶의 여유를 즐긴다. 사시사철 놀아도 물 걱정 양식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세찬 겨울바람이 아무리 몰아쳐도 겨우살이는 흔들흔들 그네를 타며 마냥 즐겁다. 땅에다 뿌리를 박고 다른 나무들과 필사적인 경쟁을 하는 어미나무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분통 터질 노릇이다. 뽑아내 버릴 수도 어디다 하소연할 수단조차 없으니 고스란히 운명처럼 당하고만 살아간다. 겨우살이의 타고난 얌체짓을 누가 좋아 하겠는가만 세상 사람들이 보기에는 얼마나 멋진가? 우리나라에서 손꼽는 황혼노을 관광지로 강화의 석모도 변산의 채석강 충남의 안면도가 서해안의 ‘3대 낙조’로 유명하다. 노을은 햇빛이 수증기와 미세 먼지에 산란돼 생기는 자연현상이다. 저녁 무렵 태양이 지평선 가까이로 갈수록 노란색에서 주황으로 그리고 빨강으로 점점 더 붉게 변한다. 석양에 물든 노을은 말로 형언하기 어려울 만큼 아름답다. 사람들은 낙조(落照)의 황홀경을 맛보기위해서 명승지를 찾는다. 언젠가 인생의 만양(晩陽)에 선JP가 자신을 ‘지는 해’라면서도 “서쪽하늘을 벌겋게 황혼으로 물들이고 싶다”고 했다. 당시DJ과 연대하기위해 다시 공조키로 한 직후에 한 말이니 겨우살이 정치를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됐다. JP의 ‘벌겋게 물들이고 싶다’는 표현에서 ‘황홀한 노을’이 떠오르는 게 아니라 ‘붉은 욕망’의 노추(老醜)가 연상돼 우리를 힘들게 했던 적이 있었다. 조락(凋落)이란 낱말은 ‘잎이 시들어 떨어짐’이란 뜻도 있지만 ‘세력 따위가 차차 쇠하여 보잘것없이 됨’이란 풀이도 있다. 인생은 조령(凋零)이지만 처지는 조락이 아님을 강조하고자 낙조를 끌어들인 건 아닐까. 태양이 아니고야 누군들 하늘을 붉게 물들일 수 있으랴. 그런데 JP는 그 높은 하늘을 벌겋게 물들이고 싶다고 했으니 그건 ‘과욕’이였을까 ‘노욕(老欲)이였을까. 그리고 그해 세밑에 JP는 ‘조반역리(造反逆理)’라는 휘호를 썼다. ‘기존질서를 뒤엎는 것은 이치에 어긋난다’.는 뜻이었을 것이다. 과연 그러했던가? “나라와 사회의 규범과 섭리를 어지럽히지 말고, 좋은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자작했다고 설명했다. 어쩌면 JP의 말처럼 그가 말년의 세상을 따사롭게 물들이는 노을 이였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내게는 아직도 크게 남는다. 선거의 계절이 다가왔다. JP의 충청대망론이 화두가 되고 있다. 겨우살이를 해온 정치인은 누구였는지, 한번 쯤 살펴봐야 할 때다. “아직도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정치인이 있다면 과욕을 빨리 지우라고 이야기 해 주고 싶다. 어느 유행가 가사에서 세상만사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은 오직 정도正道뿐이라는 사실이다. 이제 그 세월도 흘러 겨우살이 하던JP도 황혼나이인데 충청대망론(?)이라니 황혼 노을이 이 어찌 무심하지 않다하겠는가. “말로써 말이 많으니 아예 말말까 한다.” |
|
|
사람들
상주 공검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함께모아행복금고 정기 기부에 동참한 연꽃식당에 사회복지공동
|
경주시는 지난 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경주시 이·통장연합회 분기회의’를 열고, 하반기
|
문경소방서(서장 민병관)는 지난7월4일 문경소방서 4층 대회실에서 신임 의용소방대원 임명
|
대학교수를 은퇴한 뒤 농촌에서 과일 농사를 짓고 있는 김성애 씨가 지난 4일 관내 경로당
|
영천시는 4일 서문육거리 일원에서 여름철 물놀이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캠페인을 실시했
|
대학/교육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
청도 유천초, '마음건강 및 자살예방' 행복 캠프 |
대구대, 몽골 울란바토르에 ‘경북학당’ 개소 |
‘제16회 대구 진로진학박람회’ 18일 엑스코서 팡파르 |
대구보건대 사회복지학과, 캄보디아 현지 아동 대상 해외 자원봉사 |
대구한의대-대구시교육청, 친환경 급식 연수 ‘성료’ |
점촌초,, 채식 실천 캠페인 운영- |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칼럼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
캐스팅 카우치(casting couch)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역을 얻기위해 육체
|
1970년 석포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페놀 오염 30년, 2012년
|
1970년 낙동강 최상류에 제련소 가동 50년, 1991년 대구 낙동강 페놀 사고
|
\'레이건 일레븐\'은 미국 40대 대통령 로럴드 레이건의 리더십 원칙을 다룬 책
|
대학/교육
계명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소방관 인물사진 프로젝트’ 전시 |
청도 유천초, '마음건강 및 자살예방' 행복 캠프 |
대구대, 몽골 울란바토르에 ‘경북학당’ 개소 |
‘제16회 대구 진로진학박람회’ 18일 엑스코서 팡파르 |
대구보건대 사회복지학과, 캄보디아 현지 아동 대상 해외 자원봉사 |
대구한의대-대구시교육청, 친환경 급식 연수 ‘성료’ |
점촌초,, 채식 실천 캠페인 운영- |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졸업생 멘토 프로그램’ 성료 |
사공정규 경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 구미 찾아 |
영진전문대 유아교육과,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성과 공유회 ‘성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