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지역의 사립유치원 104곳이 4일 개학을 연기한다.
3일 대구와 경북도교육청에 따르면 대구지역 236곳 중 24.5%인 58곳이, 경북도내 사립유치원 227곳 가운데 20%인 46곳이 개학을 연기했다. 특히 경북 19곳은 무응답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구와 경북교육청은 학부모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 비상 근무에 나서고 있다.
개학을 연기하기로 한 사립유치원들이 돌봄 서비스는 정상 운영하기로 교육당국과 합의해 당장은 큰 혼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교육당국과 한국유치원총연합회의 기싸움이 길어져 일선 유치원들이 동요할 경우 유아교육 현장의 혼란과 학부모의 불편이 가중될 전망이다.
시·도교육청은 각각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정상적인 운영을 하지 않은 유치원에 대해서는 시정명령과 고발조치 등에 나서기로 했다.
대구교육청은 지난 2일 오후 6시께부터 1시간 30분동안 긴급협의회를 갖고, 개학 연기 유치원도 돌봄에는 정상운영한다는 것에 합의했다.
합의에 따라 개학 연기를 선언한 지역 사립유치원도 평상시와 같은 시간에 원아를 받아 교육을 제외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한 뒤, 당초 예정된 시간에 하원 시키기로 해 돌봄 공백은 최소화 될 전망이다.
강은희 대구교육감은 "유치원들이 이른 시일 내 정상 운영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개학 연기를 철회 하겠다는 유치원들도 교육청으로 연락이 오고 있다. 학부모 불편 최소화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북교육청도 유치원 개학연기에 따라 비상 근무에 돌입하는 등 학부모 불편 최소화에 나서고 있다.
경북교육청은 각 시·군에 돌봄 자체 계획을 마련하고 단설 및 병설, 초등돌봄교실 등에 아이돌봄서비스를 각 지자체 어린이집에 분산 배치했다.
또 아이돌봄이 필요한 맞벌이 등 학부모를 위해 각 지역 교육청 홈페이지에 돌봄 신청서를 개시했다.
경북교육청과 각 지역 교육청들은 3일 오후 2시부터 학부모들엑 문자메세지를 보내, 돌봄서비스 신청서 작성 요령 및 안내 등을 알려 학부모 불편 최소화에 나섰다.
위기 지역인 포항·구미 지역은 지자체와 긴급 돌봄 지원 체제를 구축했다. 특히 경북교육청은 개학연기 사립유치원에 대해 엄정 대처키로 했다.
유치원 입학일 연기는 유치원운영위원회 자문을 거쳐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고 연기하는 것은 유아교육법과 관계법령상 '불법' 행위이기 때문이다.
경북교육청은 개학연기, 변칙 운영, 무응답 유치원을 포함한 유치원에 시정요구 공문을 발송하고, 각 지역청의 홈페이지에 개학 연기 유치원 명단을 공개했다.
해당 유치원은 오는 4일 시정명령을, 5일 고발조치된다.
임종식 경북도 교육감은 "개학 연기 유치원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처할 것"이라며 "현장 모니터링으로 사안발생에 따른 사전 대책을 종합적으로 수립해, 학부모와 유아들이 걱정 없는, 정상적인 유치원 운영이 되도록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유총이 3일 밝힌 개학을 연기하기로 한 사립유치원은 전국 1533곳으로, 전체 사립유치원(4천220개)의 36.3%, 한유총 회원(3천318개)의 46.2%에 달한다.
대구경북을 제외한 지역별로는 서울·강원은 170곳, 경기·인천 492곳, 충청·대전 178곳, 부산·경남·울산 453곳, 전라·광주 165곳 등 이다.
이는 2일 교육부가 파악한 190곳보다 약 10배 많은 수치다.
김범수 기자 news121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