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안동은 봄꽃 여행이다. 봄기운이 느껴질 때면 안동은 낙동강을 따라 피어난 벚꽃이 띠를 둘러 절경을 이룬다. 이 길을 따라 먹거리장터, 공연, 체험 등 다채로운 문화축제가 펼쳐진다. 예년보다 빠른 개화를 전망하는 가운데, 올해 벚꽃축제는 29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10일간 안동 벚꽃거리에서 개최된다.
벚꽃축제 29일부터
벚꽃거리에서 열려
1.4km에 이르는 벚꽃거리에서 펼쳐지는 ‘안동벚꽃축제’는 벚꽃이만개해 꽃비가 떨어지는 낮은 물론, 밤에는 야간 네온을 활용한 ‘미라클 네온’을 펼쳐 야간 경관을 선사한다. 설렘과 낭만의 하모니가 펼쳐지는 안동벚꽃축제를 제대로 즐기려면 축제 기간 중 밤에 이곳을 찾아보자.
원이 엄마의 사랑 벚꽃으로 만개
호반나들이길 벚꽃거리
벚꽃거리에 꽃이 졌다고 아쉬워하지 말자. 바쁜 일정으로 벚꽃축제를 놓친 상춘객들은 월영교의 아름다운 경관을 즐기면서 연인, 가족과 함께 호반나들이길 벚꽃길 산책을 추천해 본다.
월영교 건너편에 펼쳐지는 호반나들이길 벚꽃은 안동호의 낮은 수온으로 벚꽃거리에 비해 1주일 정도 늦은 편이다. 원이엄마 사랑이야기가 담긴 월영교에서 강물 위로 흩날리는 벚꽃을 보고 있노라면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하회마을의 봄, 벚꽃 띠 두르다.
낙동강이 마을을 휘돌아 나가는 하회마을. 봄이면 벚꽃이 마을을 감싸 안는다. 하회마을을 감싸고도는 벚꽃 터널을 배경삼아 수줍게 흐르는 강물, 휘날리는 벚꽃 사이로 보이는 초가와 기와지붕은 하회마을에서만 볼 수 있는 고즈넉한 분위기와 낭만을 제공한다. 마을을 고요히 내려다보고 있는부용대는 하회마을에 찾아온 봄의 전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최고의 뷰를자랑하는 명소로 손꼽힌다.
가본 사람은 또 가는
백운유원지 벚꽃길
도심지에서 영덕방면으로 20분 정도 차를 타고 달리면 경북독립운동기념관강가에 자리 잡은 백운정 유원지가 나온다. 유원지로 들어가는 입구, 숨을멎게 하는 벚꽃 물결이 펼쳐진다. 잔잔하게 일렁이는 반변천 물결에 햇빛이튕겨 벚나무에 맺힌 듯하다. 그만큼 반짝이는 벚꽃이다.
강 건너편 백운정과 반변천 수중에 조성돼 있는 반월형 섬 위의 소나무숲인 개호송 숲, 강가를 따라 조성된 내앞마을, 반변천과 강가 기암과 단애, 천변 숲이 한눈에 펼쳐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아낸다.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은 국가지정 문화재 명승 제26호다.
매화 사랑한 퇴계 선생 찾아
도산서원 여행
안동 하면 누구나 퇴계 이황 선생을 떠올리게 마련이다. 평생을 청빈한 삶을 살면서 친구 삼아 사랑했던 꽃이 바로 매화이다. 오죽하면 생을 마감하며 남긴 말씀이 “저 매화나무에 물 주어라”였을까. 퇴계 선생은 자연에서 삶의 이치와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자연은 거짓말하지도, 속이지도 않는다. 꼭 그래야 한다는 법칙 없이도 어김없이 찾아오는 봄처럼, 우리의 삶도 그래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퇴계의 가르침을 마음에 새기며, 매화꽃 만발한 도산서원을 조용히걸어보는 느낌, 그렇게 시작하는 봄을 즐겨볼 만하다.
숨은 꽃길 – 진달래 오솔길
봉정사~개목사 길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봉정사는 극락전, 대웅전만 있는 것이 아니다.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이라는 영화 촬영지로도 유명한 영산암 왼쪽은 개목사로 가는오솔길이 나온다. 이 오솔길을 따라가면 아름다운 진달래 꽃길이 펼쳐진다. 개목사(開目寺)는 ‘많은 눈먼 이들의 눈을 뜨게 했다’며 붙여진 이름이다.
안동의 봄은 눈부시다. 가족, 연인과 함께 떠나는 안동의 꽃길 여행은 더 눈부신 추억으로 남을 것이다.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