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가 경북과학기술원이 세계 최고수준의 CZTS계 박막태양전지 광전변환 효율을 달성했다. CZTS계 박막태양전지 소자 구조 모식도(가운데 뒤)와 CdTe태양전지, CIGS태양전지와의 비교(오른쪽 아래). DGIST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하 DGIST)이 세계 최고수준의 CZTS계 박막태양전지 광전변환 효율을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미래 태양광 소재 기술을 선도하고 차세대 박막태양전지 산업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DGIST에 따르면 DGIST 태양에너지융합연구센터는 박막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의 정식 공인 요건인 1cm2 면적 이상 범주에서는 종전기록인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SW)의 10.0%을 뛰어넘는 11.3%의 효율을 달성했다. 또 최소 면적 요건이 없는 실험실 전지 범주에서는 미국의 IBM사의 기록과 동률인 12.6%를 기록했다.
CZTS계 박막태양전지는 구리(Cu), 아연(Zn), 주석(Sn), 셀레늄(Se), 황(S)을 구성 원소로 하는 CZTS계 화합물을 광흡수층 물질로 활용한 전지이다.
고가의 물질인 인듐(In)과 갈륨(Ga)을 사용한 CIGS 박막태양전지나 중금속인 납을 사용하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카드뮴 중금속을 사용하는 CdTe 박막태양전지와는 달리, CZTS계 박막태양전지는 저비용·친환경 소재를 사용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김대환 태양에너지융합연구센터장은 “범용 저가 태양전지 소재라는 미래 원천 기술 분야에서, DGIST 태양에너지융합연구센터가 2건의 CZTS계 박막태양전지 공인 기록을 등재해 센터의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며 “앞으로도 주도적인 연구를 지속해 향후 미래 태양광 소재 기술을 선도하고 더 나아가 박막태양전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공인 기록 2건은 권위 있는 태양전지 관련 전문지인 ‘Progress in Photovoltaics’ 저널에서 주기적으로 출판하는 태양전지 효율 테이블 최신 53판에 등재됐다.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