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권영진 대구시장(오른쪽)이 대구 4차 순환도로 건설 현장을 찾아 공사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
|
대구 도심 교통혼잡 개선과 대구·경북지역간 접근성 강화로 산업, 물류, 문화·관광 분야 등 대구의 미래 발전을 뒷받침할 4차 순환선이 3월 말에 완전 개통돼 교통흐름에 대변화가 생길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는 주변도시를 연결하는 8개의 방사형 도로가 도심을 통과함에 따라 주요 교차로 지·정체로 인한 물류수송 및 시민들의 교통불편이 가중돼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1987년부터 국도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4차순환선 계획을 마련해 사업을 추진해 왔다.
대구4차순환선의 전체 연장은 61.6㎞며 절반가량인 29.1㎞(민자 17.7㎞, 일반 11.4㎞)는 대구시에서 건설해 운영하고 있있다.
이번 공사구간인 4차순환선은 성서~읍내, 서변~안심 구간으로 총사업비 1조 5000억 원을 투입해 총 연장 32.5㎞, 나들목 8개소와 분기점 2개소가 설치되며 설계속도 80㎞/h인 4차로로 개통된다.
지난 2014년 3월부터 7개 공구로 나눠 공사계약과 착공에 들어가 현재 공정률 99%며, 3월 말 완전 개통을 앞두고 공사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다. 밑그림을 그린 지 35년 만이다.
4차순환도로의 가장 큰 장점은 대구 도심의 교통량을 외곽으로 분산해 도심 내 8개 주요간선도로 혼잡구간의 교통량이 5~18% 감소돼 교통흐름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구 외곽 부도심(월배, 다사, 칠곡, 혁신도시, 지산·범물 등)지역 간 교통 접근성도 크게 향상되며 대구국가산단, 테크노폴리스, 성서산단 등 서남부권 지역의 대규모 산업단지와 인근 경북지역 공단 간을 연결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견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영진 시장은 “4차 순환선 완전 개통으로 대구와 경북을 지나는 고속도로와 사통팔달로 연결돼 지역경제 재도약의 발판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대구를 중심축으로 주요 경북 거점지역을 연계하는 대도시권 광역순환고속도로망을 확대·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