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오는 14일까지 ‘추석연휴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이번 종합대책은 코로나19 장기화 및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한 민생의 어려움을 감안해 △민생안정 △시민안전 △나눔과 문화향유 △시민편의 4개 분야로 나눠 중점 추진한다. 올해 추석에 강화되거나 새롭게 시행하는 주요 대책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특별경영안정자금 지원규모 확대,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신규 도입, ‘2022 7일간의 동행축제’ 추진 등이다.
분야별 주요 추진대책을 보면, ▲첫 번째, 물가안정 특별대책 및 소상공인 금융지원, 지역소비 활성화 등의 민생안정 대책을 적극 추진한다. 시는 물가대책 종합상황실 및 농·수·축산물 수급대책반을 운영하고, 중점관리대상을 지정해 전통시장 및 대형마트에 가격조사를 확대 실시한다.
또 대구시와 대구신용보증재단이 추석을 맞이해 강화·시행하는 추석명절 특별경영안정자금 지원규모 확대를 비롯해, 올해 초부터 시행하고 있는 소상공인 일상회복드림(Dream) 특별보증, 폐업 소상공인 보증채무 부담완화 브릿지 보증 지원 등을 통해 소상공인 위기극복을 지원한다.
아울러 추석맞이 온누리상품권 할인 구매한도 상향,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신규 도입, 전통시장 장보기 행사 및 '2022 7일간의 동행축제' 추진으로 전통시장 등 상권을 활성화한다. 또 체불임금 예방 점검반 운영, 노동청, 경찰청 등 관계기관 협조체계 강화를 통해 임금체불을 예방한다.
▲두 번째, 추석 연휴 ‘코로나19’ 방역, 재난·재해 예방 등 빈틈없는 시민안전 대책을 추진한다. 시는 연휴기간 내 오미크론 대응본부를 상시 운영하고, 구·군 보건소 선별진료소 및 임시 선별검사소도 지속 운영한다. 오미크론 확산에 대비해 각종 병·의원 등 105개소의 고위험시설과 전통시장 등 341개 시설에 대해 방역 대책반을 편성해 점검할 방침이다.
또 대중교통과 다중이용 교통시설에 대한 방역도 추진한다. 아울러 재난안전상황실을 운영하고, 지역 747개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 점검을 추진할 계획이며, 추석 전·후 화재 특별경계근무와 함께 한과류 등 성수식품 수거검사 강화 및 농수산물 원산지 단속, 부정 축산물 특별 단속도 함께 추진한다.
▲세 번째, 코로나19의 장기화 극복을 위해 나눔과 문화향유 대책을 추진한다. 시는 거동불편 취약노인 밑반찬 지원 및 독거노인 안부확인, 결식우려 아동급식 지원 등 지역사회 나눔을 실천할 예정이다. 민간부문에서도 복지시설 200개소 및 저소득 취약계층 1만 3530명에게 8억 6000만 원을 지원하고, 저소득가구에 추석 선물을 전달하는 ‘희망배달마차’, 노숙인·경로 무료급식, 각종 위문품 지원 등을 통해 기부 및 나눔문화 확산에 적극 동참할 예정이다. 또 연휴기간 문화예술회관, 대구미술관 등 공공 문화시설에서 파워풀 대구 가요제 등 문화행사를 다양하게 추진한다.
▲네 번째, 시민편의를 위한 교통, 생활쓰레기 및 비상 응급의료 대책을 추진하고, 연휴기간 120달구벌콜센터 운영을 통해 생활불편 해소에 앞장선다. 시는 교통편의 제공을 위해 교통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대중교통은 고속버스 16%, 시외버스 6%, 열차는 4%를 증편 운행하고, 공공주차장 657개소 4만여 면도 무료 개방한다.
또 명절 연휴기간 생활쓰레기 처리를 위해 공공 폐기물처리시설을 정상운영(추석 당일, 일요일 제외)하고, 성묘객 편의 제공을 위해 사전 성묘기간 운영, 온라인 추모 성묘서비스를 운영한다. 아울러 연중 생활불편 해소와 생활필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20 달구벌콜센터를 연휴기간 중에도 운영해 안내한다.
김정기 대구 기획조정실장은 “민생안정대책을 적극 추진해 시민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추석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이후 처음 맞이하는 명절이지만, 시민들께서는 마스크 쓰기와 손씻기 등 개인방역수칙은 꼭 지켜주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