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노상추일기 도록 표지<구미시 제공> |
| 구미시에서 운영하는 구미성리학역사관이 지난해 ‘노상추일기 – 노철·노상추 부자, 100년의 기록’이란 주제로 기획전시를 가진 바 있으며, 이번에 그 전시에 대한 도록을 발간했다.
노상추(1746~1829)는 선산 독동 출신으로 정조 때 주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무과 급제 후 삭주부사와 홍주영장, 가덕첨사 등 내외 무관직을 거쳤으며, 80세에 무관으로 최고위인 종2품 동지중추부사의 직첩을 받았다. 노상추가 주목받는 것은 그가 남긴 일기 때문이다. 그는 아버지 노철의 가르침에 따라 17세부터 84세까지 68년간 일기를 썼고, 현재 53년 치의 일기가 남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기탁 보관돼 있다. 일기의 내용에는 18세기 금오서원, 채미정의 상황 등 고향 선산의 다양한 역사 이야기, 지방관으로 근무할 때의 그 지역 사정, 중앙관으로 있으면서 조부인 노계정을 매개로 한 정조, 채제공과의 특별한 인연 등 다양한 역사 자료와 얘깃거리가 담겨있다. 특히 지난 기획전시에서는 최근에 발굴된 노상추의 아버지 노철의 ‘선고일기’ 실물이 처음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이처럼 19세기 지역사의 다양한 얘깃거리가 한차례의 전시로 끝나버리게 되는 아쉬움과 전시 공간에서 소개되지 못한 자료들이 사장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는 전시기간 내내 있어 왔다.
이번 도록의 발간은 이러한 우려의 해소에 의의가 있다. 구미성리학역사관 관계자는 "기획전시 당시 전시됐던 자료와 전시에서 담지 못했던 자료를 한데 모아 도록을 편찬했으며, 도록의 말미에 관계 논문을 실어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며”이번 도록 발간을 통해 노상추의 삶과 그 일기에 담긴 구미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길 바라며, 이러한 사업은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노상추일기 도록을 비롯해 구미성리학역사관에서 발간한 도서는 구미성리학역사관 누리집 자료․연구마당에서 PDF파일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 문 의 : 구미성리학역사관(☎054-480-2681~7), * 누리집 : www.gumi.go.kr/museum 김철억 기자 |
|
|
사람들
산성 새마을지도자회가 지난 14일, 저소득 취약가구를 대상으로 ‘사랑의 집 고쳐주기’ 봉
|
영덕약사회가 산불 피해 주민의 건강한 일상 회복을 응원하기 위해 지난 13일 경북약사회와
|
문경시도시재생지원센터는 지난 8일과 9일, 점촌3동 일대에서 어르신 장수사진 촬영 행사를
|
대한불교조계종 하교사 신도회가 지난 14일 김천 양금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 저소득층을
|
김천 남면이 지난 14일, 농번기를 맞아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과 농가를
|
대학/교육
문경교육지원청, 특수학급 미설치교 장애이해교육 |
국립 경국대 예천캠퍼스, 교명 제막식 |
국립경국대, ‘불타는 숲에서 탈(脫) 산불의 숲으로’ 연구·정책 포럼 |
DGIST, 산사태 실시간 감지 고성능 ‘압전섬유 센서’ 개발 |
대구한의대, 제2회 총장배(배드민턴, 다트, 족구) 대회 ‘성료’ |
영진전문대, 사회복지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무료 교육과정 개설 |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파워풀대구페스티벌서 스타일링 봉사 |
청도 금천초, 교실로 찾아오는 맞춤형 학폭예방교육' |
대구대 DU난임대응센터, '난임 원인 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계명 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
칼럼
레밍(Lemming)은 아무런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심리를
|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대학/교육
문경교육지원청, 특수학급 미설치교 장애이해교육 |
국립 경국대 예천캠퍼스, 교명 제막식 |
국립경국대, ‘불타는 숲에서 탈(脫) 산불의 숲으로’ 연구·정책 포럼 |
DGIST, 산사태 실시간 감지 고성능 ‘압전섬유 센서’ 개발 |
대구한의대, 제2회 총장배(배드민턴, 다트, 족구) 대회 ‘성료’ |
영진전문대, 사회복지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무료 교육과정 개설 |
대구공업대 헤어디자인과, 파워풀대구페스티벌서 스타일링 봉사 |
청도 금천초, 교실로 찾아오는 맞춤형 학폭예방교육' |
대구대 DU난임대응센터, '난임 원인 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
계명 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