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구교통공사 본사 전경 |
|
대구교통공사가 2024년 한 해 동안 도시철도 내에서 발생한 유실물 처리 실적을 집계한 결과 총 8493개 유실물이 접수됐으며 이 중 7481개가 주인에게 반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실물 반환율은 80.1%다. 반환된 유실물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지갑(1122개, 15%)이었고, 그 뒤를 이어 전자제품(966개, 13%)과 현금(901건, 12%)이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이외에 가방(259개), 의류, 서류 등 기타 품목(4233개)이 포함됐다.
도시철도 내 유실물 반환율이 개선된 것은 체계적 유실물 관리 시스템 운영과 현장 직원의 신속한 유실물 접수 및 대응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폐쇄회로(CC)TV 분석과 실시간 유실물 처리 절차(관제센터 신고를 통한 일괄 상황전파, 역간 연동전화)를 적절히 활용한 것이 반환 과정의 효율성을 높였고 시민들의 즉각적인 신고와 협조도 큰 역할을 했다.
지난해 11월 대명역에서 약 300만 원 상당 현금이 든 가방 유실물을 신속하게 유실자에게 찾아 준 미담 사례가 있었다.
또 당시 한 승객이 가방을 발견하고 머뭇거리는 모습을 대명역 직원이 눈여겨 보았고 이를 통해 가방이 분실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직원은 즉시 공사 관제센터에 유실물이 발생했음을 신고했고 관제센터는 전 역으로 신속하게 상황을 전파했다.
이후 가방 주인이 서부정류장역을 찾아 유실물 습득 여부를 문의했고 역 직원은 사전에 공유된 정보 덕분에 가방이 대명역에 보관돼 있음을 안내했다. 이에 유실자는 곧바로 대명역을 방문해 가방을 되찾을 수 있었다.
김기혁 대구교통공사 사장은 “앞으로도 유실물이 접수되는 즉시 신속하게 파악해 주인 품으로 안전하게 반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현장 직원의 유실물 관리 교육과 대응시스템도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