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25일 오후 경북 안동 전역에 강풍이 불어 산불이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뉴스1 |
| 자욱하고 매캐한 산불 연기가 온 경북 북부를 뒤덮고 있는 가운데 마치 전쟁을 방블케 하는 주민 대피령이 이어지고 있다.
의성에서 발생해 사방으로 번지고 있는 '초대형 산불'이 26일 동해안까지 닿자 놀란 영덕군 주민은 불안에 휩싸였다.
전날 오후 11시부터 재난 안전문자를 본 영덕군 주민은 경정리와 축산리 항·포구로 급히 피신했다.
항·포구가 육지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 해서다.
주민들은 "119 등에 구조 신고를 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해경이 출동했고 배에 차례로 올라 안전한 곳으로 이동했다"고 전했다.
신고를 받은 해경은 연안 구조정 등 가용장비를 모두 투입하는 한편 민간 해양재난구조대와 낚시어선을 이용, 경정항과 석리 항·포구에 모인 주민 104명을 대피시설이 있는 축산항으로 이송했다.
일부 주민은 모터보트 등을 타고 대피하기도 했다.
경정항으로 대피한 60대 주민은 "시뻘건 불길이 마을 뒤쪽으로 다가와 무조건 바다로 달려가면 살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다른 주민과 함께 항·포구로 달려갔다"고 말했다.
이어 50대 주민은 "방송에서만 본 6·25 때 흥남 부두 철수 작전이 생각날 정도로 긴박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한편 영덕에서는 승용차를 타고 대피하던 요양원 입소자 3명과 마을 주민 4명 등 7명이 숨졌다.
불길이 점점 거세진 26일 오후 영덕지역에서는 통신과 인터넷 장애도 발생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영양 지역도 대피령이 발령됐다. 영양 입암 방향으로 산불이 확산하자 26일 주민 대피령이 내려진 것이다.
영양군은 이날 오후 1시 17분 재난 문자를 통해 "입암면 흥구리, 교리, 방전리, 산해3리, 산해4리 산불 확산 중으로 인근 주민은 영양 중·고등학교로 대피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알렸다.
전날 영양 석보면 화매리 일대는 의성 산불이 확산한 산불이 민가 등을 덮쳐 사망자 6명이 발생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산림 당국과 경북도 등은 이날 오전부터 영양지역 산불 현장에 진화 인력 397명과 진화 헬기 5대 등 장비 21대를 투입해 불길을 잡고 있다.
대형 산불로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안동시에 또 다시 산불이 확산해 일부 지역에게 주민대피령이 내려졌다.
안동시는 26일 오후 1시 35분 재난문자를 통해 "임동면 갈전리 산불 확산 중. 갈전1·2리 주민은 용상초등학교로 대피해 달라"고 알렸다.
한편 26일 오전 7시 41분 경, 안동에서 산불로 인해 숨진 80대 노부부가 숨진 것으로 추정하고, 시신을 수습 중이다
산불이 번진 청송에서도 26일 오후 산불이 확산해 일부 면 소재지 주민에게 대피 명령이 발령됐다.
청송군은 이날 오후 1시 50분 발송한 재난 문자를 통해 "청송 파천면 신흥리, 안덕면 지소리·노래리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고 통보했다.
청송에서는 이번 산불로 이날 오후 2시 현재까지 사망자 3명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자료정리:본사 편집팀 |
|
|
사람들
김학동 예천군수는 19일 청내 중회의실에서 간부회의를 주재하며, 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
영천시자원봉사센터에서 운영하는 도담도담 가족봉사단 단원 40여 명은 지난 17일 경주를
|
문경시 점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정길라, 차영태)는 지난 15일 가정의 달을
|
문경시 문경읍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박성오)는 문경읍 생활문화센터에서 주민자치 프로그램인
|
상주 화동면 산불감시원 해단식이 지난 15일 거행됐다.
|
대학/교육
청도고, 감꽃 축제 개최 |
점촌고 1학년, 지역 체험 중심 사제동행 프로그램 |
문경시, 국제 장학생 4명 학비 3년 전액 지원 |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약 공공의료 활성화 추진 |
영진전문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187명의 촛불 선서식 |
대구보건대 인당뮤지엄, 프랑스 실험 미술 ‘쉬포르 쉬르파스’ |
영남 이공대, 2025학년도 도서관 전자정보박람회 ‘성황’ |
계명문화대, 고교생 대상 현장 실습 프로그램 운영 |
대구한의대, 몽골 오르홍주와 국제협력 강화 4자 MOU |
DGIST, 기업혁신성장플랫폼 출범식·㈔K-Club 춘계 워크숍 ‘성료’ |
칼럼
레밍(Lemming)은 아무런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심리를
|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대학/교육
청도고, 감꽃 축제 개최 |
점촌고 1학년, 지역 체험 중심 사제동행 프로그램 |
문경시, 국제 장학생 4명 학비 3년 전액 지원 |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약 공공의료 활성화 추진 |
영진전문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187명의 촛불 선서식 |
대구보건대 인당뮤지엄, 프랑스 실험 미술 ‘쉬포르 쉬르파스’ |
영남 이공대, 2025학년도 도서관 전자정보박람회 ‘성황’ |
계명문화대, 고교생 대상 현장 실습 프로그램 운영 |
대구한의대, 몽골 오르홍주와 국제협력 강화 4자 MOU |
DGIST, 기업혁신성장플랫폼 출범식·㈔K-Club 춘계 워크숍 ‘성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