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한국종교협의회가 지난달 30일 충무로 한국의 집에서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의 종교운동과 종교인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는 간담회를 열고, 2021년 소망기원 떡 커팅식늘 가지고 있다. (사)한국종교협의회 제공 |
| (사)한국종교협의회(회장 김항제)가 지난달 30일 충무로 한국의 집에서 종단대표 20여 명이 참석해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의 종교운동과 종교인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는 간담회를 진행했다. 또한, 대한민국 종교계 대표로서 쿠데타로 인한 아픔을 겪고 있는 미얀마 국민의 고귀한 불복종 운동을 지지하고 군부의 폭력을 중지할 것을 촉구했다. 미얀마 민주주의 운동을 상징하는 세 손가락 경례로 한국종교계가 미얀마 국민을 존경과 지지의 메세지를 보냈다. 작년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하여 모임과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지는 못했지만, 어느 때보다 종교가 지닌 화합의 힘이 절실한 한해였음에 종단대표들은 공감하며 코로나 이후의 한국사회를 위해 연대할 초종교 활동들에 대해서 논의했다. 더불어 당면한 한반도 환경위기의 대책이 통일 이후 종교인의 가장 큰 사명이 돼야 함을 인지하고 통일 이후를 대비한 지원방안을 찾는 자리가 됐다. 이번 종단대표 간담회에는 기독교, 대종교, 대한불교관음종, 대한천리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 유교, 천도교, 한국불교태고종, 한국이슬람교 등 20여명의 한국 종교계 대표들이 참여했다. 1부는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다양한 종교적 신념을 모은 ‘합수식’을 통해 종교화합의 의미를 담았다. 이어서 2021년 소망기원 떡 커팅, 김항제 종협 회장의 개회사, 박노희 전 종협 회장의 축사, 종단장 인사 말씀, 축가, 축시의 순서로 진행됐다. 2부에서는 김항제 종협 회장의 신통일한국론이 소개됐고, 종단장의 제언으로 이어지며 전체기념촬영으로 폐회됐다. 김항제 종협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해 우리 사회는 공동체성을 잃어버렸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교의 역할이 가장 필요해진 시기이다”고 밝혔고, 박노희 전 종협 회장은 “한국민족은 다종교민족으로서 여러 종교가 화합하여 서로의 장점을 녹여낸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냈으니 앞으로의 한국사회를 이끌어나가 달라”고 축하했다. 사회를 맡은 문상필 종협 사무총장은 2020년 한국종교협의회 활동의 의미와 결과를 설명하고 앞으로의 주요 사업과 비전에 대한 동참을 요청했다. 이어 2021년은 기존 활동들과 더불어 한반도 평화를 위한 종교인들의 역할과 지지를 위한 활동에 역량을 집중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에서 1965년 최초로 종교연합운동을 시작한 종협은 한반도의 정세 변화 속에서 종교인의 역할을 모색하고 사회를 통합하기 위한 종단대표 모임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다.
황보문옥 기자 |
|
|
사람들
대구 북구 침산3동 새마을부녀회와 새마을협의회가 제80주년 광복절을 맞아 지난 14일 ‘
|
영덕 강구 지역사회보장협의회가 23가구를 대상으로 밑반찬을 전달하는 사랑나눔 반찬 배달
|
청송 새마을회가 지난 18일 산소카페 청송정원에서 백일홍 생육관리 봉사활동을 펼쳤다.
|
KJ플랜텍(주)에서 지난 20일 미래 경주지역을 이끌어갈 인재육성과 이 지역의 교육발전을
|
(주)인흥산업에서 지난 20일 미래 경주지역을 이끌어갈 인재육성과 이 지역의 교육발전을
|
대학/교육
모전초, ‘제22회 춘천전국관악경연대회’초등부 금상 |
국립경국대, 2026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학부모 초청 입학설명회 |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약AI사업단(TF)’ 공식 출범 |
DGIST, ‘제4회 이차전지 최신 연구개발 동향 토론회’ |
대구교육청-굿네이버스, 학생 마음건강·생명존중교육 협력 |
발달 장애인 돕던 정연제 변호사, 대구대 박사 되다 |
대구보건대, ‘DHC 서포터즈’ 발대식·워크숍 |
대구한의대, 영덕군과 함께 ‘K-MEDI 글로벌 유학생 페스티벌’ |
국립경국대 농업과학연구소, ‘3P 화분매개 Network 중점연구 하계워크숍’ |
영진전문대 AI융합기계계열, 취업률 80%·대기업 353명 ‘취업강자로 부상’ |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모전초, ‘제22회 춘천전국관악경연대회’초등부 금상 |
국립경국대, 2026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학부모 초청 입학설명회 |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약AI사업단(TF)’ 공식 출범 |
DGIST, ‘제4회 이차전지 최신 연구개발 동향 토론회’ |
대구교육청-굿네이버스, 학생 마음건강·생명존중교육 협력 |
발달 장애인 돕던 정연제 변호사, 대구대 박사 되다 |
대구보건대, ‘DHC 서포터즈’ 발대식·워크숍 |
대구한의대, 영덕군과 함께 ‘K-MEDI 글로벌 유학생 페스티벌’ |
국립경국대 농업과학연구소, ‘3P 화분매개 Network 중점연구 하계워크숍’ |
영진전문대 AI융합기계계열, 취업률 80%·대기업 353명 ‘취업강자로 부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