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아이빌(EYE VIL) 전경. 대구시 제공 |
| 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이 운영하는 아이빌(EYE VIL)이 2021년 3월 최초 안경기업 입주율 100% 달성했다. 첨단장비센터의 장비를 활용해 안경업계의 신제품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아이빌은 대구시와 북구청에서 지원 건립해 2015년 10월부터 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에서 수탁·관리를 통해, 대구 제3산업단지에 위치한 안경업계의 열악한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숙련인력의 성장을 통해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안광학산업 지원시설이다. 지상 1층부터 7층까지 연면적 9,957.61㎡, 총 67개 호실로 구성된 아이빌은, 입주기업에 지하주차장, 엘리베이터, 24시간 보안시스템, 샤워시설, 탕비실 등의 편의 공간을 구축하고 있으며, 입주는 안경업계만 가능하다. 초창기, 아이빌은 저조한 임대율과 각종 규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초기 임대율이 평균 40%대로 그쳤으며, 건물의 용도 및 규제로 인해 식당업체가 입점하지 못해 입주기업들이 불편함을 겪었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2018년부터 아이빌은 건물 용도변경에 따른 규제 완화와 저렴한 관리비 등 각종 지원을 통해 입주기업의 만족도를 높여, 임대율을 평균 90%대로 상승시켰다. 아울러 지난해에는 코로나 19 여파로 어려워진 입주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임대료 감면과 시설비 지원을 통해, 기업 입주율 100%라는 고무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한편, 아이빌 1층에 있는 첨단장비센터에는 6종 6대의 첨단장비가 구축돼 있다. 3차원 안경테 모델을 제작하는 쾌속 조형기, 제품 분석을 위한 3D 스캐너, 소재 및 부품을 가공하기 위한 레이저컷팅기, 동시4축가공기, 형말이기, 세심기 등이 있다. 입주기업은 고가의 장비를 저렴한 가격에 사용할 수 있어, 신제품 개발과 가공 시험 등을 위한 ‘테스트 베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또한, KOIA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대구시로부터 ‘3D 융합 안경테 제조기반 구축 사업’을 통해, 지난해부터 3개년에 걸쳐 총 29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첨단장비센터에 3D 금속 프린터를 포함한 추가 장비를 도입해, 안경테 금형 실증센터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안경업계의 원스톱 지원체제 기반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입주기업 에스엠플러스 장원녕 대표는 “쾌적한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하다 보니 청년층의 유입이 한층 용이해졌고,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아져 업무 효율성이 높아졌고, 한편 저렴한 임대료 덕분에 사업 성장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했다. 아울러, 진광식 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장은 “대구시와 북구청과 함께 아이빌을 통해 안경 제조산업의 기술 혁신을 추진하고, 5월 준공 예정인 안경테 표면처리센터를 친환경 시스템으로 구축해, 안광학산업의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아이빌 입주 및 첨단장비 이용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이빌 홈페이지(https://www.eyevil.co.kr/)를 참조하거나 아이빌 사무실(053-356-6902~3)로 문의하면 된다.
황보문옥 기자 |
|
|
사람들
울진 매화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9일 소외 계층 이웃을 위한 ‘5월 마음담은 김치반찬
|
㈜에이아이정보기술 이상돈 대표가 지난 9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고향사랑기부제에 360만 원
|
영양 수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영양산나물 먹거리 한마당 기간에 먹거리부스를 운영,
|
영천교육지원청은 지난 9일, 영천여자고등학교 정문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 금
|
상주 낙동면이 지난 9일 화산1리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준공식을 열었다.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