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시절(12세~18세)부터 못 말릴 문학 소년이던 필자는 25세에 중앙일보 신춘문예(1967년)에 당선하여 기성시인이 되고 나서, 시인경력이 만 54년이 되었다. 개인시집 44권·수필집 5권(1967년~2021년)이 되고, 내 손을 거친 문예잡지까지 치면, 통산하여 펴낸 책이 좋이 백권은 됨즉하다. 서당 개 노릇 3년에 시를 짓는다는 말이 있지만 55년의 시의 길을 제대로 착실히 걸어온 필자는 좀 뭣한 말로 문예(시·수필)뿐 아니라, 가요(대중가요·고전음악)에도 일가견이 있어 노래를 들으면 노래의 에센스가 무엇인지 곧바로 파악이 된다. 배호 가수(1942년~1971년)가 생전에 250여 곡을 불렀는데, 배호 가수의 대표곡은 ‘파도’라는 걸 바로 알아냈다. ‘파도’는 이인선이 노랫말을 짓고, 김영종이 가락을 붙였다. ‘파도’는 노랫말도 아름다운 시요, 가락도 감동을 주는 멜로디다. 한 말로 하면 ‘파도’는 완성미를 자랑하는 성공한 음악이라고 봐도 틀림이 없다. 시인들도 좋은 고품질의 시를 남긴 시인들이 최근 발견되어, 내 가슴에 기쁨을 더해주었다. 잘된 예술작품을 감별(구별)하는 지름길은 예술전반에 상당한 소양이 있어야 하고 고도한 예술감각이 필수적이다. 감별능력은 하루아침에 얻을 수 없고, 평생을 살면서 정진해야 얻을 수 있는 경지다. 이번 글에서는 시인 이은상 선생의 시어(詩語)도 살아 숨쉬고, 감각도 참신한 명시조 2편을 애독자와 함께 살펴 볼까나.
사랑 / 이은상 탈 대로 다 타시오 타다 말진 부디 마오. 타고 다시 타서 재 될 법은 하거니와 타다가 남은 동강은 쓰올 곳이 없소이다.
반 타고 꺼질진대 아예 타지 말으시오. 차라리 아니 타고 생 남으로 있으시오. 탈진대 재 그것조차 마저 탐이 옳소이다. (1931. 12. 그믐밤) (덧말)내가 잘 아는 수준 높은 독신주의자 K씨가 가장 애송하는 시다.(김시종)
이 마음 / 이은상 거닐다 깨달으니 몸이 송림에 들었구나 고요히 흐른 달빛 밟기 아니 황송한가 그늘져 어둔 곳만을 골라 딛는 이 마음
나무에 몸을 지혀 눈감고 걷노랄 제 뒤에서 나는 소리 행여나 그대신가 솔방울 떨어질 때마다 돌려보는 이 마음 (1931. 10. 13. 금화산) (덧말) 국민행복 지수를 높여 드리기 위해 산더미같이 쌓인 시집속에서 이은상 선생의 시조집 ‘가고파’를 발견하고, 쉽사리 ‘사랑’과 ‘이 마음’을 재발견 하고 지레 행복감에 젖는다. 이은상 선생님은 현대시조의 대표시인임을 실감한다.(김시종) |
|
|
사람들
지난 14일, 한국자유총연맹 청송지회회원 30여 명이 산소카페 청송정원에서 백일홍 생육관
|
영천 북안면은 19일 정광원 ㈜강산 및 승원친환경기술 회장과 이수진 ㈜강산 대표이사가 북
|
영천시 사랑의 빵 나눔봉사단은 지난 18일 자양면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빵 300개를 전
|
영덕 남정면이 지난 16일 장사해수욕장에서 ‘2025 남정면민 화합 노래자랑’을 개최했다
|
㈜이텍솔루션이 19일 영양군청을 방문,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금 100만 원을 기탁
|
대학/교육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