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2019~2021년 실시한 팔공산 자연자원조사 용역결과 팔공산 도립공원에는 총 5295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지난 2014년 확인된 4739종보다 556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국립공원과 비교해도 전체 6위에 해당하며, 7위 오대산(5195종)보다 높은 수치이고, 도시형 국립공원인 무등산(4081종), 북한산(4064종), 계룡산(3776종)과 비교했을 때 팔공산의 생물자원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멸종위기 야생동물 Ⅰ급인 '붉은박쥐', '매'와 Ⅱ급 '큰말똥가리'가 이번에 추가 확인돼 총 멸종위기 야생동물은 15종으로 늘어났다. 아울러 국보, 보물, 유형문화재 등 91건의 지정 문화재가 확인돼 국립공원에서 가장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북한산국립공원(100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를 바탕으로 팔공산이 가지고 있는 뛰어난 자연자원 자료를 국립공원 승격 지정 건의 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홍성주 시 녹색환경국장은 “이번 자연 자원조사 결과로 팔공산의 생태적·문화적 가치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됐다”며, “이를 바탕으로 팔공산의 대내외 인지도 향상과 브랜드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황보문옥 기자 |
|
|
사람들
울진 매화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9일 소외 계층 이웃을 위한 ‘5월 마음담은 김치반찬
|
㈜에이아이정보기술 이상돈 대표가 지난 9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고향사랑기부제에 360만 원
|
영양 수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영양산나물 먹거리 한마당 기간에 먹거리부스를 운영,
|
영천교육지원청은 지난 9일, 영천여자고등학교 정문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 금
|
상주 낙동면이 지난 9일 화산1리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준공식을 열었다.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