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5-13 04:33:50

대구, ‘스마트시티 아시아태평양 어워드 2021’수상


황보문옥 기자 / 1159호입력 : 2021년 05월 20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 대구시의 ‘소형 전기 모빌리티 스마트 충전·주차 스테이션 윙 스테이션(운송인프라 부문)’이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 2021(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2021, SCAPA)’에서 최우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대구시 제공

글로벌 시장분석 전문기관인 IDC(International Data Cooperation)가 주관하는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 2021(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2021, SCAPA)’에서 대구시의 ‘소형 전기 모빌리티 스마트 충전·주차 스테이션 윙 스테이션(운송인프라 부문)’이 최우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로 선정돼 대구시는 전국 지자체 중에 유일하게 2018년과 2019년에 이어 3회 수상의 쾌거를 거뒀다. 
 2018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자동 질의응답을 통해 여권, 차량 등록을 포함한 일반적인 민원서비스와 축제정보 등 대구시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지능형 상담 시스템 ‘뚜봇’이 최우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로 선정됐으며,
2019년에는 수성알파시티 내 스마트시티 구축사업 서비스 중 하나로 주요 지하매설 지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현장에서 스마트폰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지능형 매설관로 인식 표시기(SPI) 태그로 각종 상하수도, 전기, 통신 등 7대 지하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통합된 화면으로 볼 수 있는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이 2년 연속 선정됐었다.
올해 운송·운송인프라 부문에서 선정된 ‘소형 전기 모빌리티 스마트 충전·주차 윙 스테이션(WING STATION)’은 이용자들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가장 가까운 윙스테이션으로의 효과적인 접근과 원격 충전·주차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충전‧주차 플랫폼이다.
사물인터넷(IoT) 무선 통신망을 활용, 이용자의 충전‧주차 데이터를 수집하고 동시에 시설물 관리주체가 원격으로 수백 대의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대구시 내에 공유킥보드 이용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6월부터 시범서비스를 확산 추진할 예정이다.
7회를 맞이하는 이번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2021’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일본 제외)의 260개 프로젝트를 심사해 70개 프로젝트를 선정했으며, 공개투표와 IDC평가를 통해 16개 프로젝트가 최우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로 최종 선정됐다.
평가방법은 아태지역 IDC연구원 평가(50%), 공개투표(25%), IDC 국제자문위원회 평가(25%)로 이루어졌으며, 수상 부문은 ▲행정 ▲시민참여 ▲디지털 자본 및 접근성 등 총 14개 분야에서 최고 사례를 선정했다.
한국IDC 스마트시티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김경민 수석 연구원은 “넥스트 노멀 시대에는 중앙정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모두가 회복 탄력성에 기반한 공공 생태계를 구성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고 활용 가능한 공공정책과 서비스가 더욱 다양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그동안 알파시티 조성을 통해 국책사업 유치의 계기를 마련했으며, 올해 국토교통부 스마트챌린지 사업 선정(시티, 솔루션확산사업, 캠퍼스),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 실증도시 지정(2018), 스마트도시 시범인증(2019) 외에도 스마트시티 국제표준 인증(2020,ISO37106), 전국 최초 G20 글로벌 스마트시티 연합 가입(2020) 등의 성과로 국내 스마트시티 대표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 및 글로벌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해 국토부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도시 인증을 필두로 전국 최초로 UN 산하기관 ITU 스마트시티 표준, 스마트시티 국제표준 인증(ISO 37120) 획득과 함께 스마트시티 글로벌 100위 진입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국내 지자체 중 최초로 스마트시티 아태 어워드를 3회 수상한 것은 대구시가 글로벌 스마트도시로 인정받고 있음을 국제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확산해 기업이 성장하고 시민의 삶의 질이 높아지는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황보문옥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울진 매화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9일 소외 계층 이웃을 위한 ‘5월 마음담은 김치반찬 
㈜에이아이정보기술 이상돈 대표가 지난 9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고향사랑기부제에 360만 원 
영양 수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영양산나물 먹거리 한마당 기간에 먹거리부스를 운영, 
영천교육지원청은 지난 9일, 영천여자고등학교 정문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 금 
상주 낙동면이 지난 9일 화산1리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준공식을 열었다.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