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옥성초, 학교 내 동물생태학습장 조성 |
| 구미옥성초등학교는 ‘동식물과 함께하는 심리정서 안정프로그램’에 선정돼 동물교감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동물교감교육은 동물과 함께 놀면서 인성을 배우고, 동물과 정서적으로 교감하며 힐링하는 교육으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구성했으며 학생과 교사가 서로 함께 할 주제를 찾아서 공동연구하고 협력하며 참여와 협력 중심의 학생 참여형 수업을 실천하고 있다.
옥성초등학교는 학교 내 ‘옥성행복공원’을 조성하고 ‘옥성행복공원’ 내 ‘동물생태학습장’을 설치했다. 그리고 옥성초 학생들이 기르고 싶은 동물을 투표해 선정된 닭 5마리, 토끼 4마리가 지난해 12월 20일에 입주됐다.
동물을 소중히 여기고 이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며 학생들은 ‘동물생태학습장’ 안에 들어가 토끼와 닭을 직접 만져보고, 배추와 먹이를 주며 동물과 정서적으로 교감하는 시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암탉이 낳은 알을 관찰하고 만져보며 생명의 신비로움도 느끼고 있다.
4학년 전○○ 학생은 “토끼가 너무 작고 귀엽고, 동물을 보호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며 인간과 동물이 자연 속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임을 알게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6학년 이○○ 학생은 “닭이 토끼를 공격할 줄 알았는데, 토끼와 닭이 서로 집을 오고가며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신기하고, 닭이 땅을 파며 땅에 뒹구는 모습도 처음 본다”고 소감을 밝혔다.
남경순 교장은 “소규모 학교에서 학생들의 정서지원 및 학생참여형 수업을 위해 ‘동물과 함께하는 심리정서 안정프로그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그 결과 아이들의 생명존중의식, 인성, 정서, 사회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2022학년도에는 ‘동물생태학습장’ 내에 예쁜새도 입주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철억 기자 |
|
|
사람들
근남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4일 관내 취약계층 60가구를 대상으로 새마을부녀회와 함
|
청송 현동 도평1리 마을복지 추진단이 지난 14일, 도평1리 하천변 일대에서 환경정화 활
|
청송 진보 소재 종가집이 최근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돕기 위해 성금 100만
|
문경시이웃사촌복지센터(센터장 김경범)는 지난 14일, 마성면 외어4리 마을회관에서 마을
|
산성 새마을지도자회가 지난 14일, 저소득 취약가구를 대상으로 ‘사랑의 집 고쳐주기’ 봉
|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펫산업과 반려동물훈련사’ 특강 성료 |
영진전문대, 인성 특강 100회 ‘서동주 변호사 초청’ 특강 |
청도 중·고, 스승의 '사제동행 교육활동 보호주간 캠페인' |
계명문화대, 충성교회와 외국인 유학생·청년 선교 연계 ‘맞손’ |
문경, 청소년안전망 제1차 실무위 개최 |
대구보건대, ‘제27회 헌혈 사랑 나눔 축제’ 19일 팡파르 |
문경교육지원청, 특수학급 미설치교 장애이해교육 |
국립 경국대 예천캠퍼스, 교명 제막식 |
국립경국대, ‘불타는 숲에서 탈(脫) 산불의 숲으로’ 연구·정책 포럼 |
DGIST, 산사태 실시간 감지 고성능 ‘압전섬유 센서’ 개발 |
칼럼
레밍(Lemming)은 아무런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심리를
|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펫산업과 반려동물훈련사’ 특강 성료 |
영진전문대, 인성 특강 100회 ‘서동주 변호사 초청’ 특강 |
청도 중·고, 스승의 '사제동행 교육활동 보호주간 캠페인' |
계명문화대, 충성교회와 외국인 유학생·청년 선교 연계 ‘맞손’ |
문경, 청소년안전망 제1차 실무위 개최 |
대구보건대, ‘제27회 헌혈 사랑 나눔 축제’ 19일 팡파르 |
문경교육지원청, 특수학급 미설치교 장애이해교육 |
국립 경국대 예천캠퍼스, 교명 제막식 |
국립경국대, ‘불타는 숲에서 탈(脫) 산불의 숲으로’ 연구·정책 포럼 |
DGIST, 산사태 실시간 감지 고성능 ‘압전섬유 센서’ 개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