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 도남동 소재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우리나라에 살고있는 담수조류 데스모데스무스 어번던스의 엽록체 유전체 지도를 완성해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에 등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엽록체의 유전체 정보가 밝혀짐에 따라 그동안 형태변이가 심해 데스모데스무스 어번던스를 이제 다양한 유전자를 이용해 쉽게 동정할 수 있게 됐다. 데스모데스모스 어번던스는 국내외 연못, 호수 등에 널리 분포된 녹조류(담수조류의 한 집단으로 녹조현상의 원인생물인 남조류와는 구분됨)로 바이오연료의 재료, 나노입자 생합성 등 활용 가치가 높은 종임에도 형태변이가 심해 정확한 동정 기준이 모호했던 종이다. 담수조류 분류 전문가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경북대학교 이준모 교수팀과 공동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당 종의 명확한 종 동정 기준을 마련했다.
아울러 데스모데스무스 어번던스의 엽록체 유전체 분석 결과, 광합성 시스템, 탄소고정, 에너지 합성, 단백질 합성 등에 관련한 69개의 기능 유전자를 밝히고, 이는 국외에서 분석된 녹조류의 엽록체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밝혀진 엽록체 유전체 정보를 국내외 연구자들이 연구 결과를 국제적으로 저명한 유전체 분야 전문 저널인 Mitochondrial DNA Part B: Resources에 투고했다. 황인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