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정길 대구문화예술진흥원장이 시청 동인청사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경영혁신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황보문옥 기자 |
|
민선8기 들어 재단법인 3곳과 대구 산하 사업소 3등 공공기관 통·폐합을 통해 출범한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이 오는 2026년까지 약 40억을 절감하는 고강도 조직 경영혁신과 인적 쇄신에 본격 나선다.
김정길 대구문화예술진흥원장은 14일 오전 대구 동인청사에서 기자 설명회를 열고 “재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오는 2026년까지 약 40억 원을 순 절감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청소·경비 등 시설운영 주체를 통합 위탁하고 사무공간의 대구문화예술회관 이전을 통한 임차료 절감 등으로 운영·인건비의 지속적 절감을 꾀할 예정”이라고 했다.
인적 쇄신을 통한 재정 절감에 나서 예술단의 기량 향상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또 예술단을 포함해 올해 기준 총 632명에서 출발한 정원을 4년에 걸쳐 약 8% 감축하고 중장기적으로 정원 550명 수준을 유지하는 13%까지 축소한다는 계획이다.
인원 감축과 관련 김 원장은 “기술 인력을 통합 운영하고 중복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인력을 조정해 기존 업무 방식의 개선을 통해 점진적으로 정원 수를 줄여나갈 것”이라며, “정원을 합리적으로 조정해 예술단의 기량을 향상시키는데 역량을 집중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문화예술진흥원은 또 '글로벌 첨단 문화콘텐츠 도시를 선도하는 컨트롤타워'를 비전으로 삼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5대 전략과 15개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5대 전략에는 △대구발 World Class 콘텐츠 육성 △시립예술단 강도 높은 혁신 추진 △기존 운영 방식을 탈피하는 대구형 문화예술관광 뉴노멀화 △지역 문화예술계 자생력 강화 △업무관성을 타파하는 조직 경영혁신 등이 포함됐다.
대구를 대표하는 문화축제인 대구오페라축제와 내년 하반기 개관을 앞둔 대구 간송미술관의 내실을 다지는 한편 '문화의 일상화 정책'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김광석길과 근대 문화예술인들의 흔적이 남아있는 향촌동 등에 특색 있는 콘텐츠를 강화하고, 특히 달성토성-경상감영-근대골목으로 이어지는 천년의 역사가 공존하는 구도심을 관광 거점화한다는 방침이다.
김정길 원장은 “효율성을 기치에 둔 전반적 조직 경영혁신과 문화예술과 관광의 창의적 융복합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 있는 D(대구)-콘텐츠 개발에 나서는 한편 시립예술단의 강력한 체질 개선에 나서 대구를 월드클래스 수준의 문화예술 도시로 탈바꿈하겠다”고 강조했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