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민으로부터 시작되는 문화유산의 세계화’를 주제로 경주HICO에서 2019년 9월 개최된 ‘국제문화재산업전’ 개막행사 모습.<경주시 제공> |
| 경주시가 문화재청 주관 ‘2022년 문화유산 관리역량 진단사업’ 정량평가 부문에서 지난해 이어 ‘우수 기초단체’로 선정됐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문화재청 주관 문화유산 관리역량 진단사업은 지자체의 문화유산 보존 노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올해는 전국 12개 지자체를 선정했다.
경주시는 세계적 역사문화관광 도시로 문화재 보존과 활용 등 모든 분야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시는 국내 유일한 국제문화재산업 전을 개최하고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을 운영하고 문화재 야행 등 문화유산을 활용한 체험 행사를 진행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점 등이 이번 평가에 반영됐다.
경주시는 2019년 7월에 조직된 사적지정비T/F팀은 경주시의 오랜 숙원사업인 손곡동과 물천리 경마장부지 매입을 해결하고 사적지 내 문화재구역의 장기 미매입 토지에 대한 적극적인 매입 추진과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등 문화재 지역 보존에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밖에도 쪽샘지역 주차장 조성, 포석정 방문자 센터를 건립 등 문화재구역 내 복원 및 경역정비를 통해 문화재 경관 보존에 기여함을 물론 관람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유산의 도시 경주의 이미지를 드높였다.
또 양동마을 외 5개소에 문화재 안전경비원 24명을 배치해 중요목조문화재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으며, 문화재 방재IoT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재난안전 관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문화재 재난사고 발생에 대한 초동대응 및 보고체계를 확립하는 등 지역의 문화재 재난안전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전국 최대의 세계유산 및 문화재 보유지역인 경주시가 업무 관계자 모두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올해도 진단평가에서 우수한 성과를 달성함을 축하한다”며“다양한 문화재 활용사업 및 문화재 보수 ․ 정비 사업을 통해 소중한 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경태 기자 |
|
|
사람들
성주 초전면이 25일 면 행정복지센터 민원실에서 초전파출소와 함께 폭언·폭행 등 특이민원
|
바르게살기운동 김천 대덕면위원회가 지난 22일 관기1리 관터 경로당에서 백숙 나눔 봉사를
|
다인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8월~9월까지 거동이 불편한 65세 이상 어르신 200명을 대상
|
영천시는 지난 5일부터 18일까지 한국생활개선 영천시연합회 회원 320여 명을 대상으로
|
상주 박은옥 교육장이 이달 31일 퇴임을 앞두고 지역 인재 육성과 교육 발전을 위해 (재
|
대학/교육
계명대,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 성료 |
대구 교육청, ‘2025년 글로벌 교육수도 대구 페스티벌’ 성료 |
호산대, 첫 외국인 학생 홍보대사 출범 ‘7개국 8명 선발’ |
DGIST, 국립대구과학관·대구공고와 ‘상상을 실현하는 부트캠프’ |
국립 경국대, ‘2024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제빵기능사 자격증 특강 |
대구보건대, ‘STAR PLUS ESG 알파 거버넌스 구축 간담회’ |
대구한의대 간호학과, 미국·일본서 국제교류 활동 활발 |
문경여중, 차별 없는 세상 위한 장애 인식 개선 교육 |
문경학생오케스트라‘주흘’, 한여름 밤을 수놓다 |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계명대,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 성료 |
대구 교육청, ‘2025년 글로벌 교육수도 대구 페스티벌’ 성료 |
호산대, 첫 외국인 학생 홍보대사 출범 ‘7개국 8명 선발’ |
DGIST, 국립대구과학관·대구공고와 ‘상상을 실현하는 부트캠프’ |
국립 경국대, ‘2024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제빵기능사 자격증 특강 |
대구보건대, ‘STAR PLUS ESG 알파 거버넌스 구축 간담회’ |
대구한의대 간호학과, 미국·일본서 국제교류 활동 활발 |
문경여중, 차별 없는 세상 위한 장애 인식 개선 교육 |
문경학생오케스트라‘주흘’, 한여름 밤을 수놓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