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DGIST 캠퍼스에서 부트캠프 'From Thinking to Making: 상상을 실현하는 이틀간의 여정'에 참가한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캠퍼스 IT콘텐츠과 1·2학년 학생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DGIST 제공 |
|
DGIST(총장 이건우)가 지난 22일 국립대구과학관(관장 이난희), 대구공고 테크노폴리스캠퍼스(교장 강철현)와 협력해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한 부트캠프 'From Thinking to Making: 상상을 실현하는 이틀간 여정'을 개최했다.
행사는 지역 내 교육기관 간 협력을 통한 혁신적 인재양성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부트캠프는 지난 21~22일까지 DGIST 캠퍼스에서 열렸으며, 대구공고 테크노폴리스캠퍼스 IT콘텐츠과 1·2학년생 18명이 참여했다. 참가 학생은 3인 1조, 총 6개 팀을 구성해 자율주행 자동차 해커톤에 도전했다.
주요 프로그램은 ▲생각으로 하는 코딩 특강 ▲자율주행 자동차 해커톤(교구 사용법·코딩 교육, 도로 제작 및 자율주행 구현) ▲발표 및 시연 ▲자율주행 관련 강의 ▲DGIST 첨단 연구인프라 견학 등으로 진행됐다. 특히, 대구과학관에서 진행한 자율주행 해커톤에서는 학생들이 본인의 이야기를 담은 도로를 직접 디자인 및 제작하고,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의 자율주행 코드를 구현해 발표·시연하는 전 과정을 경험했다. 또한 DGIST FAB과 첨단 연구실 견학을 통해 실제 연구 현장을 접하며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를 가졌다. 이번 부트캠프는 아이디어 도출부터 문제 해결, 구현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신경호 DGIST 연구부총장은 “AI 시대에는 주어진 문제를 잘 푸는 능력보다 없던 문제를 발굴해 해결하는 역량이 중요하다”며, “이번 부트캠프가 학생에게 창발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장이 됐다”고 말했다.
또한 “다양한 지식과 인사이트가 융합되는 협업 환경이 창의성의 출발점”이라며, “정답이 없는 난제에 도전하고 실패를 경험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진정한 창의성이 발현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