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회의장실은 지난 29~30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정기국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은 ‘국민에게 힘이 되는 국회’를 원하지만 국회의 노력은 미흡하고, 국회에 대한 불신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에게 힘이 되는 국회’슬로건에 대해 응답자의 54.3%가 호감을 나타냈지만, 국회가 이를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53.2%로 다수를 차지했다. 국회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8.7%에 달하고, 신뢰한다는 응답은 20.4%에 불과하다. 둘째, 국민은 국회가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지 못하고, 특히 여야 간 소통과 협치가 매우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국민의 57.7%는 국회가 입법과 예산․결산 심사 등 입법부의 역할을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고, 여야 간 소통과 협치를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77.9%에 달했다.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이유로는 여야가 상대방의 의견을 들으려 하지 않는다(39.7%), 야당의 무조건적인 반대가 여전하다(19.5%), 국회가 한 목소리를 내는 것을 보기 어렵다(13.8%) 순이었다. 셋째, 국민은 정기국회에서 민생과 안보, 일자리 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룰 것을 요구하고 있다. 9월 정기국회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논의해야할 사항에 대해 민생법안 처리(28.3%), 안보문제(27.7%), 일자리문제(23.1%)가 다수를 차지했다.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20대는 일자리문제를, 30~50대는 민생법안 처리를, 60대 이상은 안보문제를 우선순위로 꼽았다. 넷째, 국회선진화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현행유지 의견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국민의 59.4%는 “다수가 찬성하더라도 쟁점법안의 통과가 어려워 법안처리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선진화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답했고, “여야 간의 물리적 충돌로 인한 파행적 국회운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33.1%였다. 한편 개정 찬성자 중 73.9%는 이번 20대 국회부터, 24.7%는 다음 21대 국회부터 개정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응답했다. 정세균 국회의장은 “국민들은 정기국회에서 협치를 통한 민생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국회의 모습을 가장 보고 싶어 한다.”고 해석하면서, “일하는 국회, 국민에게 힘이 되는 국회를 위해 국회선진화법의 근본 취지는 유지하되, 국회 운영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아 달라.”고 각 당에 요청했다.서울=김봉기 기자 kbg1961@naver.com |
|
|
사람들
구미 양포동 새마을부녀회가 지난 21일 취약계층 20가구에 삼계탕과 반찬을 전달하며 초복
|
구미 형곡2동이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주최하고 구미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형곡2동지역사회
|
칠곡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8일 교육문화회관에서 제11기 협의체 위원장 이취임식과
|
고령 개진면 노인회분회가 지난 21일 임원진 및 경로당 회장·총무에게 초복을 맞아 삼계탕
|
상주 청리면이 지난 21일 전 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상호존중 실천다짐의 날을 정해 첫 시
|
대학/교육
대구경북영어마을, 영어마을로 다시 돌아온 4인의 진심 어린 귀환 |
대구보건대 방사선학과, 연합대학 함께 방사선안전관리 전문가 과정 운영 |
계명문화대 한국어학당, ‘맛으로 만나는 한국’ 문화체험 행사 성료 |
국립 경국대, ‘제2회 대한민국 학생창업주간’ 대상 등 수상 |
대구한의대-NIA, AI 기반 재활의료 인재양성 업무협약 |
국립 경국대, ‘2025년 경북글로벌학당’개강식 |
문경시, 숭실대·문경대와 상호 협력 교류 업무협약 |
대구대 파란사다리 연수단, 영국‧말레이시아‧필리핀 해외 연수 |
청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신나는 여름 계절학교' |
계명문화대, 대구 달서구 ‘치매극복선도대학’ 지정 |
칼럼
후궁(後宮)은 왕실의 정실 부인 외의 공식 지위를 가진 여성을 말한다. 제왕의 첩
|
자난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울산)반구천의 암각화'(
|
7월 5일 오후 포항 구룡포항에 있는 대게 식당에서 초등 동문 팔순 파티가 있었다
|
■정성이 담긴 한 접시
음식은 때때로 말보다 깊은 마음을 전하기도 한다. 특히
|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
대학/교육
대구경북영어마을, 영어마을로 다시 돌아온 4인의 진심 어린 귀환 |
대구보건대 방사선학과, 연합대학 함께 방사선안전관리 전문가 과정 운영 |
계명문화대 한국어학당, ‘맛으로 만나는 한국’ 문화체험 행사 성료 |
국립 경국대, ‘제2회 대한민국 학생창업주간’ 대상 등 수상 |
대구한의대-NIA, AI 기반 재활의료 인재양성 업무협약 |
국립 경국대, ‘2025년 경북글로벌학당’개강식 |
문경시, 숭실대·문경대와 상호 협력 교류 업무협약 |
대구대 파란사다리 연수단, 영국‧말레이시아‧필리핀 해외 연수 |
청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신나는 여름 계절학교' |
계명문화대, 대구 달서구 ‘치매극복선도대학’ 지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