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포항 강소연구개발특구 내에 위치한 벤처창업 인큐베이팅 센터 ‘체인지업그라운드’ 전경<포항시 제공>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2024년 강소연구개발특구 연차평가’에서 포항강소특구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우수특구’로 선정됐다.
이로써 포항강소특구는 2021년과 2022년 ‘최고 등급’ 평가에 이어, 2023년과 2024년 ‘우수특구’에 오르며 4년 연속 우수 성적을 이어갔다.
‘강소특구 연차평가’는 전국 14개 강소특구를 대상으로, 기술이전·투자유치·창업성과 등 정량지표와 지자체 재정투입·특화분야 육성 노력 등 정성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매년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다.
평가에서 포항강소특구는 ▲학·연 연계 기술창업 촉진 ▲특화분야(첨단신소재 등) 집중 육성 ▲연구소 기업 및 이노폴리스 캠퍼스 창업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지역 및 특구 펀드 연계를 통한 투자 활성화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2024년 주요 성과로는 기술이전 61건, 연구소기업 7개사 설립, 첨단기술기업 2개사 설립, 신규 창업 11건, 582억 원 규모 투자유치, 220명의 일자리 창출 등 성과를 거뒀으며 특구사업 수혜기업의 매출은 138억 원에 달했다.
해당 특구 제1호 유치기업인 그래핀스퀘어는 지난해 6월 대규모 투자유치에 성공해 생산공장을 착공하고,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국제전자제품 박람회 2년 연속 제품 혁신상 수상과 타임지 ‘올해 최고의 발명’에 선정되는 등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또한, 강소특구 제2호 첨단기술기업인 에이엔폴리는 지난해 10월 융합기술산업지구 내에 연간 1,000톤 규모의 친환경 소재 생산공장 착공에 들어갔다.
포항강소특구는 올해에도 창업 기획, 해외 현지 투자 설명회, 비즈니스 파트너 연결, 핵심기술 특허 확보, 지역 기관과의 협력 등을 통해 기업의 성장과 산업 발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런 노력은 판로 개척, 투자 유치, 정부 지원 사업으로 이어지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이정수 포항강소특구육성센터장은 “지자체의 전폭적 지원, 기업의 도전, 지역 혁신기관의 협업이 함께 이뤄낸 성과”라며, “제조 기반까지 연결되는 기업 성장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특구 내 기업이 글로벌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강덕 시장은 “포항시는 바이오, 에너지, 나노 등 미래 신산업에 최적화된 지원체계와 기술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며, “2단계 강소특구 사업을 통해 창업에서 성장, 제조로 이어지는 첨단신소재 산업 생태계를 완성해 포항을 대한민국 대표 기술혁신 거점도시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
|
|
사람들
영천시는 지난 5일부터 18일까지 한국생활개선 영천시연합회 회원 320여 명을 대상으로
|
상주 박은옥 교육장이 이달 31일 퇴임을 앞두고 지역 인재 육성과 교육 발전을 위해 (재
|
풍기읍 주민자치위원회가 지난 22일 남원천 소무대에서 ‘2025 한여름 밤의 음악회’를
|
문경시 산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공위원장 김우근, 민간위원장 엄상희)는 지난 22일 위
|
문경시 문경읍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박성오)는 지난 22일 위원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
|
대학/교육
계명대,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 성료 |
대구 교육청, ‘2025년 글로벌 교육수도 대구 페스티벌’ 성료 |
호산대, 첫 외국인 학생 홍보대사 출범 ‘7개국 8명 선발’ |
DGIST, 국립대구과학관·대구공고와 ‘상상을 실현하는 부트캠프’ |
국립 경국대, ‘2024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제빵기능사 자격증 특강 |
대구보건대, ‘STAR PLUS ESG 알파 거버넌스 구축 간담회’ |
대구한의대 간호학과, 미국·일본서 국제교류 활동 활발 |
문경여중, 차별 없는 세상 위한 장애 인식 개선 교육 |
문경학생오케스트라‘주흘’, 한여름 밤을 수놓다 |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계명대,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 성료 |
대구 교육청, ‘2025년 글로벌 교육수도 대구 페스티벌’ 성료 |
호산대, 첫 외국인 학생 홍보대사 출범 ‘7개국 8명 선발’ |
DGIST, 국립대구과학관·대구공고와 ‘상상을 실현하는 부트캠프’ |
국립 경국대, ‘2024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제빵기능사 자격증 특강 |
대구보건대, ‘STAR PLUS ESG 알파 거버넌스 구축 간담회’ |
대구한의대 간호학과, 미국·일본서 국제교류 활동 활발 |
문경여중, 차별 없는 세상 위한 장애 인식 개선 교육 |
문경학생오케스트라‘주흘’, 한여름 밤을 수놓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