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환경청이 대구·경북지역 환경기초시설(하·폐수처리시설)에 대해 수처리 전문가 위주의 ‘환경기초시설 기술지원반’을 올해 23곳으로 확대한다.
환경기초시설 기술지원반은 2015년 2월부터 반복적으로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하·폐수처리시설의 정상운영을 위해 대학교수,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환경공단, 시설운영사 등 4개팀 15명으로 구성·운영하고 있다.
대구환경청은 올해는 4월부터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 등 23개 시설에 대해 추진할 예정으로, 지난해 17곳 보다 6곳이 더 늘어났다고 밝혔다.
기술지원 대상은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해 개선명령 2차 이상 처분을 받은 시설 9곳, 노후시설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원 요청한 시설 3곳, 2019년 지도·점검 시 수질기준이 초과되거나 긴급 기술지원이 필요한 시설 등 10곳이다.
기술지원은 기술지원반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수질상태, 약품사용량, 처리공법 등을 면밀히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설의 문제점과 원인 등을 규명해 최적의 시설 관리·운영방안을 제시하는 맞춤형 기술지원 방식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해 기술지원반 운영결과, 포항 하수처리시설 등 17곳에 대해 시설별 1~3회 총 35회 기술지원해 12곳이 방류수 수질기준을 준수하는 등 성과가 있었다.
대구환경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계속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하·폐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맞춤형 기술지원을 실시하고, 연말에는 기술지원 성과보고회를 열어 기술지원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라고 했다.
김범수 기자 news121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