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이 혁신안 과제로 추진 중인 4개 지점 및 출장소의 폐쇄 방침을 전면 재검토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5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은성수 한국수출입은행장은 “4개 지점 폐쇄결정을 전면 재검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대구달성군)의 질의에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추 의원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창원·구미는 주력산업 침체와 대기업 이전 등으로 경제가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경제가 어려울수록 국책은행은 수출금융의 적극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회복을 떠받쳐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한국수출입은행은 조직쇄신의 하나로 지점폐쇄 방안 등이 담긴 '수출입은행 혁신안'을 마련한 바 있다. 당초 2018년 말까지 전국 13개 지점 중 4개 지점을 축소하기로 결정했지만 비용절감 효과에 비해 고객기업들이 겪어야 할 불편이 더 크다는 문제 제기가 잇따르고 있다.
4개 지점 폐쇄로 수출입은행이 절감할 수 있는 비용은 연간 6억8천만원(전체 예산 0.86% 수준)이다. 하지만 지점이 폐쇄될 경우 고객기업들의 접근성이 악화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대출·보증이 축소될 수 있다는 지역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출입은행이 2018년 여신 실적만으로 폐쇄지점을 결정한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창원지점은 2009년 여신지원 규모가 수출입은행 전체 지점 중 1위에 해당할 정도로 지역기업들의 대출·보증 수요가 많았다. 최근 조선업 침체로 9위까지 내려앉으면서 폐쇄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하지만 과거 대출실적 및 경남의 수출규모를 고려하면 창원지점 폐쇄는 근시안적 판단이라는 게 창원지역 경제단체들의 주장이다.
추 의원은 “한국수출입은행은 경제가 어려울수록 적극적인 수출금융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돼야 할 것”이라며 “지점폐쇄로 지역 기업인들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지역경제 회복에 찬물을 끼얹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수출입은행은 지점폐쇄를 전면 재검토하고 향후 활발한 수출금융 지원을 통해 국책은행의 소임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범수 기자 news121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