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팔공산 구름다리 건설 계획을 폐기하고, 비로봉 철탑 정비와 생태통로 설치 등 팔공산 복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구경실련과 대구환경운동연합은 공동 성명을 내고 "비로봉 철탑을 정비하고 생태통로를 구축하면 팔공산의 자연적·인문적·경제적 가치도 높일 수 있다"며 "대구시는 구름다리 건설이라는 무모한 삽질 계획을 폐기하고, 정책 방향을 철탑 정비와 생태 통로 조성 등 자연성 복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팔공산 비로봉에는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9개의 거대한 철탑이 있다"며 "철탑은 자연 조망을 방해하는 장애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 철탑이 방송·통신사 중계소여서 정비가 간단한 일은 아니겠지만, 어렵다고 해서 철탑을 영원히 그 자리에 둘 수 없다"며 "대구시가 철탑을 설치한 방송사, 통신사와 해결방안을 모색해 철탑을 정비해야 한다"고 했다.
또 이들 단체는 야생동물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생태통로 조성도 요구하면서 "비로봉 철탑 정비와 달리 생태통로 구축은 대다수 시민이 동의하는 데다 예산 확보도 어렵지 않은 만큼 서둘러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시가 도로 개설로 인한 생태계 단절을 그대로 방치하고 있다며 생태통로는 등산로 시설로도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어 시미단체는 "100대 명산에 속하는 팔공산은 관광적 측면에서 양보다 질이, 탐방객 수보다는 체류 시간이 더 중요한 곳"이라며 "구름다리를 설치해 일시적으로 관람객을 불러모으기보다 핵심 역사문화 관광자원인 동화사 관람환경을 개선하고, 생태 통로를 마련하는 등 자연 복원과 함께 지속 가능한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반면 팔공산 인근 주민들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이유로 구름다리 설치가 필수라는 입장이다. 구름다리를 설치한 뒤 등산로 상당수를 통·폐합하고 관리 노력을 더 한다면 오히려 철저한 환경보호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 2017년 "팔공산에 구름다리를 설치해 관광산업을 활성화하겠다"며 구름다리 건설사업을 시작했다. 지난해 기본계획을 마무리짓고 소규모 환경영향평가까지 받아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었으나 시민단체 반발에 부딪혀 실시설계 작업을 일시 중단한 상황이다.
김범수 기자 news121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