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권(영남권·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둘러싸고 가덕도 신공항을 밀어붙이는 부산·울산·경남과 대구통합신공항을 추진 중인 대구·경북 간 갈등이 재점화된 가운데 ‘출구전략’으로 영·호남을 아우르는 하나의 관문공항을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남부권 관문공항 재추진본부는 8일 오후 대구시의회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영호남 등 남부권에 하나의 관문공항을 건설해야 하며 이를 위해 김해신공항 백지화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재추진본부는 김형기 경북대 명예교수가 상임대표를 맡았고, 대구·경북지역 학계, 법조계 등 1백여명이 추진위원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회견문에서 "대구통합신공항과 가덕도신공항 추진을 중단하고, 남부권에 하나의 관문공항을 건설해야 한다"며 "남부권 관문공항은 수도권 일극 발전체제를 지역 다극 발전체제로 전환해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하려는 국가프로젝트"라고 주장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컬화의 핵심 인프라가 관문공항"이라며 "영남경제권과 호남경제권을 포괄하는 남부권에 하나의 관문공항을 건설하는 것은 여객과 항공물류 수요 면에서 경제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해신공항에 대해선 “수용능력·안전성·환경성 측면에서 남부권 관문공항이 될 수 없다”며 “김해신공항은 수도권 중심주의와 지난 정부·여당의 정략적 계산이 합작한 최악의 정책”이라고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가덕도 신공항에 대해서는 "남부권 관문공항은 기술적인 고려와 함께 영남권 전체와 호남권이 사용하는데 편리한 입지에 건설돼야 한다"며 "가덕도는 부산의 이익만 고려한 지역이기주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남부권에 두개의 관문공항을 건설하는 것은 취항 항공사의 경제성 면에서 불가능하다. 대구통합신공항과 가덕도신공항이 모두 건설된다면 항공수요가 분할돼 둘 다 관문공항이 될 수 없다"고 했다.
아울러 "남부권 관문공항이 건설되더라도 대구공항은 편리한 접근성과 수요를 고려해 존치돼야 하고 군공항만 이전시켜야 한다"며 "남부권 관문공항과 대구민간공항 존치는 상호보완적이어서 양립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형기 상임대표는 "앞으로 대구·경북지역에서 남부권 관문공항 필요성을 알리면서 부산·울산·경남과 호남권으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범수 기자 news121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