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노후수도관 비율이 전국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효상 국회의원은 대구가 20년 이상 노후수도관이 전국에서 최고 많다고 주장했으며, 대구시가 전국 평균보다 낮다고 반박자료를 냈다.
자유한국당 강효상 의원(비례대표)은 지난 8일 국회 환경노동위 현안 질의에서 환경부 '상수도 통계 지난 2018'을 인용해 "대구가 20년 이상 노후수도관 비율이 전국에서 제일 높기 때문에 인천의 '붉은 수돗물' 사태가 대구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며 정부 예산지원을 요청했다.
강 의원은 "20년을 넘긴 노후수도관 비율을 보면 서울 54.8%, 대구 56.8%로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며 "대구는 지난 2개월 사이 30년 이상 된 노후수도관이 두 번이나 파열돼 물난리가 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조명래 환경부 장관에게 "노후수도관 교체 공사비를 ㎞당 4억원으로 가정하면 대구는 향후 교체공사비가 3천800억원에 육박한다"며 "정부가 전국적 전수조사를 해 체계적 예산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즉각 반박자료를 내고 해명에 적극 나섰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0년을 초과한 수도관을 노후관으로 보는 것은 무리"라며 환경부가 고시한 규정을 들었다.
또한 “지난 2007년 환경부 고시에 노후관은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고, 관 내부에 녹이 발생해 녹물이 나오는 관'으로 규정돼 있으며 연수는 정해져 있지 않다”면서 “대구지역에 설치된 상수도관은 대부분 내구연한이 30년인 주철관, 스텐레스관, 강관 등이다”고 해명했다.
특히 "지난 2016년 환경부가 실시한 '상수도 관망 기술진단' 용역에서 대구 노후관은 9.6%(770㎞)로 전국 평균 14%보다 낮게 나타났다"고 상수도사업본부는 밝혔다.
이어 "유수율 향상과 흐린 물 출수방지를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사업비 4천445억원을 들여 934㎞의 노후관 개량사업을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