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에서 최근 10년간 연구개발비를 부정사용한 것으로 적발된 금액이 무려 1천57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대구 동을 당협위원장·사진)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이후 연구개발비(R&D) 부정사용으로 환수 결정된 금액이 1천57억1천7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중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무려 137억3천200만원의 연구개발비를 부정 사용한 것으로 적발돼 도덕적 해이가 만연하게 드러났다. 자료에 따르면 총 환수금액 1천57억1천700만 원 중 현재까지 환수된 금액은 677억2천800만 원으로 회수율 64.1%를 보였다.
또한 회수 결정액 중 63%인 666억5천800만 원은 감사원·권익위·수사기관 등 외부기관에 적발되었고, 연구개발비 지원에 직접 관련이 있는 전담기관에 의한 자체 적발은 37% 수준이었다.
특히 적발기관별로는 검·경 등 수사기관의 적발 환수결정액 350억2천600만 원 중 80.7%인 282억6천500만 원을 환수해 가장 높은 환수실적을 보였고, 국민권익위에 적발된 62억4천700만원의 23.6%인 14억7천500만원을 환수하는데 그쳤다.
현재 5년이 지나고 있는 지난 2014년 환수액 139억6천만 원 중 환수처리가 완료된 금액은 34억7천만 원으로 24.9%에 불과했다. 2012년 49.4%, 2013년 49.8%, 2016년 49.0% 등 몇년이 지났으나 환수율은 절반 이하 수준에 그쳤다.
한편 부정사용 유형별(건)로는 연구개발 목적 외 사용이 34.5%로 가장 많았으며, 허위와 중복증빙 24.8%, 인건비 유용 13.9%, 납품 기업과 공모 13.7% 순이었다.
김 의원은 "사후 적발 보다는 연구개발비가 부정사용되지 않도록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하지만 수 년이 흘렀음에도 환수 결정액 대비 환수율이 저조한데, 부정사용 시 단 기간 내에 끝까지 환수한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보문옥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