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역 농,축,수협의 연체 금액 비중이 높아지는 등 대출 건전성이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포항지역 12개 농·축·수협과 7개 신협의 대출잔액은 4조2643억5천5백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부실대출에 해당하는 고정이하 여신규모는 1125억8천6백만원으로 집계됐다.
농협과 신협의 부실대출 규모는 지난해 12월 기준 651억9천3백만원 대비 올들어 6개월동안 42.1%인 473억9천3백만원이 증가했다. 2017년 6월 기준 부실대출규모 276억1천만원의 4.1배인 862억4천만원이 급증했다.
포항지역 10개 농협 가운데 남포항농협이 132억7천6백만원으로 부실대출규모가 가장 많았으며, 포항농협이 129억4천1백만원, 포항축산농협 76억8백만원 등으로 집게됐다.
남포항농협은 지난해 12월 기준 37억7천4백만원에 불과했지만 올들어 6개월동안 3배 많은 95억원이 급증했다. 2017년 6월기준 9억2천2백만원에서 14배 늘어났다.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0.26%에서 3.54%로 악화됐다.
포항축산농협은 6억3400만원에서 2년 사이에 10배 이상 늘어났다.
오천농협 역시 6개월 사이에 1억5천3백만원에서 32억9천3백만원으로 부실대출규모가 20배 이상 급증했다.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5.73%에 달해 포항지역 농협 가운데 가장 악화됐다.
구룡포 수협은 6월기준 총 여신이 3천6172억원에 고정이하 여신은 118억1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41억8천만원에 비해 2.5배 늘어났다.
반면 포항수협은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0.69%에 그치고 있어 포항지역 농,축,수협 가운데 가장 양호한 자산건선정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침체한 실물경제 영향으로 서민 생계자금 수요가 몰리는 2금융권의 부실대출이 증가한 측면이 있다"며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서민 생계자금 어려움을 반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