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이 예천군의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보물 제684호 윤장대를 통합해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제328호로 지정했다.
문화재위원회는 용문사 대장전(건축물)과 윤장대(동산)의 건립시기, 의미, 특징 등을 검토해 두 보물이 역사·예술적 가치가 뛰어나 하나로 통합해 국보로 승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예천 용문사는 신라 경문왕대 두운선사가 당나라에서 돌아와 초암을 지으면서 비롯돼 후삼국 쟁탈기에 왕건과 관계를 맺으며 사찰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됐다.
대장전과 윤장대는 고려 명종 3년(1173년) 국난(김보당의 난) 극복을 위해 조응대선사가 발원하고 조성했다.
대장전과 윤장대는 초창 이래 여러 차례 수리했다. 최근 동(오른쪽) 윤장대에서 확인한 천계오년(1625) 묵서명과 건축의 양식으로 미뤄볼 때 17세기에 수리돼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용문사 대장전은 윤장대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건립된 건물이다. 윤장대는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회전식 경장(經藏)으로 전륜장, 전륜경장, 전륜대장이라고도 한다.
윤장대는 고려 초 중국 송대(宋代)의 전륜장 형식을 받아들여 제작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현재는 예천 용문사 윤장대만이 유일하게 같은 자리에서 846년 동안 그 형태와 기능을 이어오며 불교 경장신앙을 대변하고 있다.
윤장대 동쪽은 교살창, 서쪽은 꽃살창으로 간결함과 화려함을 서로 대비시킨 점, 음양오행과 천원지방의 동양적 사상을 의도적으로 내재시켜 조형화시켰다는 점에서 뛰어난 독창성과 예술성이 인정된다.
특히 불교 경전신앙의 한 파생 형태로 한 쌍으로 된 윤장대는 동아시아에서도 그 사례가 없고 국내 유일이라는 절대적 희소성과 상징성에서도 국보로 승격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총 24건의 국보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번에 예천 용문사의 대장전이 국보가 되면서 지난 2011년 ‘완주 화암사 극락전’ 이후 8년 만에 다시 국보 건축물이 탄생했다.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