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와 소득이 함께 상승하는 추세 속에서 40대만 유일하게 수입이 줄었다. 40대는 경제의 허리라고 불리는 만큼 왕성한 경제활동을 하는 연령대다. 50대와 함께 우리사회에서 인구구조상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젊은 시절 격변의 80년대와 소비가 만개한 90년대를 통과한 이들은 인생관이나 소비행태 등에서 과거의 아저씨들과는 확연히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 나이 먹고 고집만 세서 '꼰대'로 불리는 기존의 중년세대들과는 차이가 있는 셈이다. 때문에 요즘 20,30대 젊은 세대에게는 분위기 파악을 못하는 고루한, 그러면서도 친근한 '아재(아저씨의 낮춤말)'로 불리며 TV 개그프로의 소재가 되기도 하고, 유통 시장에서 개성 있는 소비 행태로 큰 손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런 40대가 빚은 늘고 소득이 준 것은 어쩌면 한국경제의 시스템 리스크가 그 만큼 커졌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4일 통계청의 가구주 연령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를 보면 올해 3분기 평균 가계소득은 444만5435원으로 앞선분기 441만6469원으로 0.66% 올랐다. 하지만 40대 가계소득은 505만2153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인 505만3722원보다 0.03% 감소했다. 40대의 소득이 꺾인 것은 2003년 통계를 낸 이후 처음이다. 이들의 소득은 ▲2011년 3분기 436만950원 ▲2012년 468만4378원 ▲2013년 3분기 478만4578원 ▲2014년 3분기 489만1319원 등으로 해마다 상승해왔다.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7년과 2008년에도 40대의 소득은 354만45384원에서 382만9261원으로 유일하게 늘어나기도 했다. 반면 이들을 제외한 20대와 30대, 50대, 60대의 월 소득은 늘었다. 같은 기간 20대는 312만3365원에서 2.7% 늘어난 320만8560원을 벌었고 30대는 442만8961원에서 4.7% 많은 463만8398원의 소득을 기록했다.50대는 516만2631원에서 523만1108원으로, 60대 이상 가구는 291만9811원에서 289만2003원으로 각각1.3%와 1%씩 많아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불경기에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줄면서 40대 수입도 낮아졌다"며 "우리나라 경제를 지탱하는 허리인 40대 소득이 줄었다는 것은 현재 암울한 경제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
|
|
사람들
경주시 황남동 청년회가 지난 18일 지역 내 경로당 15곳에 수박과 국수를 전달했다.허삼
|
양남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난 18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복 담은 삼계탕」 건강지원사
|
칠곡 여성단체협의회(회장 강영미)가 지난 22일 기산 영1리 경로당에서 ‘정성가득 국수데
|
안동 옥동 소재 다이닝원(공동대표 강한호, 김철연)이 여름방학 기간 학교 급식 중단에 따
|
서울 서초구 양재동 소재 온누리교회 청년봉사단(팀장 전창준)이 지난 19일 안동 평화동
|
대학/교육
경산 유아교육체험센터, 유보통합 프로그램 운영 |
대구경북영어마을, 영어마을로 다시 돌아온 4인의 진심 어린 귀환 |
대구보건대 방사선학과, 연합대학 함께 방사선안전관리 전문가 과정 운영 |
계명문화대 한국어학당, ‘맛으로 만나는 한국’ 문화체험 행사 성료 |
국립 경국대, ‘제2회 대한민국 학생창업주간’ 대상 등 수상 |
대구한의대-NIA, AI 기반 재활의료 인재양성 업무협약 |
국립 경국대, ‘2025년 경북글로벌학당’개강식 |
문경시, 숭실대·문경대와 상호 협력 교류 업무협약 |
대구대 파란사다리 연수단, 영국‧말레이시아‧필리핀 해외 연수 |
청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신나는 여름 계절학교' |
칼럼
후궁(後宮)은 왕실의 정실 부인 외의 공식 지위를 가진 여성을 말한다. 제왕의 첩
|
자난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울산)반구천의 암각화'(
|
7월 5일 오후 포항 구룡포항에 있는 대게 식당에서 초등 동문 팔순 파티가 있었다
|
■정성이 담긴 한 접시
음식은 때때로 말보다 깊은 마음을 전하기도 한다. 특히
|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과 하지를 지나면서 여름 기운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
대학/교육
경산 유아교육체험센터, 유보통합 프로그램 운영 |
대구경북영어마을, 영어마을로 다시 돌아온 4인의 진심 어린 귀환 |
대구보건대 방사선학과, 연합대학 함께 방사선안전관리 전문가 과정 운영 |
계명문화대 한국어학당, ‘맛으로 만나는 한국’ 문화체험 행사 성료 |
국립 경국대, ‘제2회 대한민국 학생창업주간’ 대상 등 수상 |
대구한의대-NIA, AI 기반 재활의료 인재양성 업무협약 |
국립 경국대, ‘2025년 경북글로벌학당’개강식 |
문경시, 숭실대·문경대와 상호 협력 교류 업무협약 |
대구대 파란사다리 연수단, 영국‧말레이시아‧필리핀 해외 연수 |
청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신나는 여름 계절학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