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8-30 20:16:18
칼럼
  최종편집 :
출력 :
'한강' 노벨문학상 받았어요
10월10일 스웨덴 한림원이 한국 작가 한강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발표했다. 소설가 한강은 한국 작가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받게 됐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
김경태 기자 : 2024년 10월 12일
인구는 떠나고 폐기물만 돌아오는 경북 농촌
안동시 의일리에 슬러지(오니) 폐기물 처리공장이 들어서고 있어 주민이 봉기하고 있다. 지난해 풍산읍 신양리에 의료폐기물 소각장이 들어온다고 온 주민이 죽을 각오로 막고 있는데,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24년 10월 09일
'산거' 산이 깊음을 이제 알았네
\"봄은 가도 꽃은 외려 남아 있고/ 날이 개도 골짝은 그늘에 가렸네/ 두견새 대낮에도 우는 것을 보니/ 내 사는 산이 깊음을 비로소 알겠네(春去花猶在/ 天晴谷自陰/ 杜鵑啼白晝/
김경태 기자 : 2024년 10월 08일
부모의 관심과 조기 발견이 중요한 '소아 난청'
말이나 소리를 듣는 데 어려움이 있는 '난청'은 한 가지 질환이라기보다 잘 들리지 않는 증상 자체를 말하므로 다양한 원인이 있다. 소아 난청은 어린이의 정상적인 발달에 큰 영향을
황보문옥 기자 : 2024년 10월 06일
'국군의 날' 북한 정권 종말의 날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10월 1일 서울공항에서 열린 제76주년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 \"만약 북한이 핵무기 사용을 기도한다면 우리 군과 한미동맹의 결연하고 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하게 될
김경태 기자 : 2024년 10월 04일
아직 사람이 죽지 않았다!
외국에서는 이미 사람이 죽고 코끼리도 떼죽음을 당했다. 녹조의 독성 마이크로시스틴 중독으로 1996년 브라질 병원에서 혈액투석 과정에서 50여 명이 집단 사망했다는 충격적인 보도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24년 10월 03일
'생명 현상' 설계의 신비를 밝혀라
성교에 의해 사정된 정자가 출발할 때는 1억마리 이상 되지만 난자 가까이 도달 했을 때는 살아 남은 정자는 100~500마리가 된다. 그 중에 한 마리가 난자의 벽을 뚥고 진입해
김경태 기자 : 2024년 10월 02일
현대적 의미의 ‘컴맹’
어느 날 어떤 앱을 찾느라 필자의 스마트폰을 열어 보니 앱의 개수가 무려 70여 개나 되어 깜짝 놀랐다. 그나마 필자는 스마트폰으로 몇 가지 일을 하는 터라 그 활용에 익숙한 편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24년 10월 01일
국보 갈항사지 3층 석탑 반환에 대해
이창재 전 김천부시장김천의 품격을 높이고 인구가 넘쳐나는 관광명소도시 김천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최근 국보 갈항사지 3층 석탑은 우리 김천 시민들의 최대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 대내
황보문옥 기자 : 2024년 10월 01일
민심 팔이 그만 해라
민심(民心)은 국민의 마음이다. 국민은 다수다. 국민의 마음도 다양하고 변화한다. 민심을 바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다수 국민의 공통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여론조사와 투표결
김경태 기자 : 2024년 09월 28일
수도권 분산 없이, 지방통합 ‘멍에’라
세계에서 수도권에 절반이 넘는 52%의 인구가 몰려있는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 그것도 남북이 분단되어 휴전 상태에서 수도가 군사분계선 100km 내에 근접하여 2,600만 명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24년 09월 26일
'유유자적' 거꾸로된 청산을 좋아한다
유유자적(悠悠自適)은 속세를 떠나 아무런 속박없이 조용하고 편안하게 삶을 사는 모습을 말한다. 아무런 구속을 받지않고 자기 마음 내키는 대로 사는 삶, 산수를 찾아 자연속에 머물
김경태 기자 : 2024년 09월 25일
바람 불어 더, 그리움
엄마 아빠가 이승을 등지자, 시골집만 덩그렇게 남았다. 10여 년 전에 영양 시내로 집을 사서, 이리로 왔다. 새로 기와도 올렸다. 화단엔 집과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릅나무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24년 09월 23일
'김가기 도인' 속물이 너무 많은 세상
김가기(金可紀)는 신라시대 사람으로 당나라에 가서 빈공과에 급제를 한 도교가이며 문장가다. 어릴 때부터 기억력이 뛰어나 글을 잘 지었으며 성격이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것을 좋아하지
김경태 기자 : 2024년 09월 18일
'미 대선 토론' 끝까지 가봐야 한다
9월 10일(현지시간) ABC 방송 주관 미국 대통령 선거 TV 토론이 100분 동안 방영됐다. 미국 대통령 후보의 토론을 지켜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CNN이 조사한 유권자의 평가
김경태 기자 : 2024년 09월 13일
TK통합 민심폭발 10대 화근(禍根)
뜬금 없는 대구경북 통합 주장이 불러온 혼돈. 무잇이 문제이고 무엇이 잘못됐나?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24년 09월 10일
'계엄' 발동 한번 하면 안될까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야당은 증거를 가지고 있다며 공개 토론을 하자고 공격을 하고, 여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법위기를 막기위한 괴담을 퍼뜨
김경태 기자 : 2024년 09월 07일
TK통합론의 오해와 진실
TK통합론으로 100일간의 홍역을 앓았다. 안 그래도 역대급 폭염에 지친 500만 시·도민은 물론 시도공무원 또한 뜨거운 불덩어리에 감당하기 힘든 홍역을 앓았을 것이다. 예고도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24년 09월 04일
'재도전 캠프'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실패해도 재도전의 기회가 있다. 넘어져 보지않으면 걷지 못한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실패한 사람에게 성공의 철학을 깨우쳐 주는 곳이 있다. 경남 통영시 한산면 죽도길에 있는
김경태 기자 : 2024년 09월 02일
‘그린워싱’
얼마 전에 큰아들이 직장에서 독서동아리를 하고 있는데 “‘좋아요’는 어떻게 지구를 파괴하는가”라는 책을 읽었다면서 ‘그린워싱’에 대해 한번 글을 써보는 게 어떠냐고 물었다. ‘그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2024년 09월 02일
   [1] [2] [3] [4]  [5]  [6] [7] [8] [9] [10]       
사람들
경주시 황성동 환경보호협의회가 지난 22일 황성동 공영주차장과 공동주택 일대에서 환경정비 
경주시 월성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꼼꼼복지단은 지날 27일 ‘APEC 클린데이’에 참여해  
울진 후포면이 지난 27일 맨발걷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실시했다. 
영주2동 통장협의회가 28일 회원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중앙선 철도하부공간 일원에서 
청도시화라이온스클럽이 지난 27일 여름 김장김치 100통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해 달라며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칼럼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