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6 02:53:42

[漢字로 보는 世上] 문전작라(門前雀羅)

배 해 주
수필가

안진우 기자 / 894호입력 : 2020년 04월 05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문 門 앞 前 참새 雀 그물 (벌릴) 羅
부와 권력이 쇠락하자 사람은 찾아오지 않고 새들만 찾아와서 그물을 칠 정도이다. 세력이 몰락한 집안의 풍경을 말해준다. 또 집안이 쓸쓸하고 한산한 상태를 가르치기도 한다. 사기의 급정열전(汲鄭列傳)에 실려 있다.
한 나라 무제 때, 높은 벼슬을 한 급암(汲黯)과 정당시(鄭當時)는 모두 의리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으로서 찾아오는 손님들을 극진히 대우했다. 늘 겸손했으며 귀천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을 대한 것이다. 그러나 두 사람의 관직은 변화가 심했다. 급암은 매사에 직언하다가 무제의 미움을 사 면직되기도 했으며, 정당시 역시 연좌제에 걸려 평민이 되었다가 나중에 여남군 태수로 끝을 맺었다. 이 두 사람이 벼슬자리에 물러나자, 평소에 많던 빈객들이 다 흩어지고 찾아오지 않았다.
적공(翟公)도 벼슬에 있을 때는 문 앞에 빈객이 득실거렸지만, 벼슬을 그만두자 빈객들이 뚝 끊어졌다. 그러다 적공이 다시 벼슬을 하자 예전처럼 빈객들이 모여들었다.
이를 본 적공은 문 앞에다 크게 써 붙여 놓았다.
“한번 죽고 한번 사는 데서 서로 사귀는 정을 알고, 한번 가난하고 한번 부자가 되는 데서 서로 사귀는 실태를 알며, 한번 귀하고 한번 천하게 되는 데서 서로 사귀는 정이 나타난다. 이 얼마나 슬픈 일이던가”
문전작라(門前雀羅)의 현상은 특히 권력자와 관련되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높고 힘 있는 자리에 있을 때는 문전성시를 이루다가 그 권력이 없어지거나 줄어들면 언제 그랬냐는 듯 걸음을 멀리한다. 물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후자는 자리를 보고 맺은 정이거나 인연이 아니라 그 사람의 됨됨이를 보고 인연을 맺으면 언제나 그 사람 집은 문전성시(門前成市)를 이룬다. 또 혹자는 옛사람과 맺은 인연을 소중히 하여 모두가 그 곁을 떠나가도 홀로 그 곁을 지키는 절개를 보이기도 한다. 어떤 경우가 잘된 것이고 어떤 경우가 못된 것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지금도 혹자는 권력자의 편에 있으나 때로는 권력자의 잘못을 직언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그 사람은 권력자의 추종 세력으로부터 뭇매를 맞는다. 심지어는 협박까지도 한다. 그래도 그 길을 마다하지 않는 이가 바로 충신이고 참 인간이리라. 그리고 지금은 몰락한 권력자로 낙인찍혀 당신 아니면 안 된다던 많은 사람이 그 곁을 떠나가도 지난날 의리와 인연으로 누가 뭐라든 그를 따르고 돌봐주는 인물도 있다. 살아있는 권력자의 편에 있으면서 권력자의 잘못을 충언하는 사람, 쇠락한 지난 권력자를 끝까지 믿고 따르는 사람, 바로 이런 분류의 사람들 때문에 세상은 변하며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닐까?
세상사 어려울 때 친구가 친구이듯이 권력도 크게 다르지 않다. 권력의 정점에 있을 때가 아니라 권력이 쇠하였을 때 찾는 그런 사람이 필요한 것은, 바로 지금이 어려운 시절이기 때문이다.
난세가 영웅을 만들고 어려운 계절이 충신을 만들어 낼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기대한다. 권력의 정점에 있든 쇠락한 자리에 있든 많은 사람이 그를 존경하고 그의 집 앞은 언제나 문전성시를 이루는 모습을 보고 싶다. 그런 일들이 일어나면 분명히 경제가 살아나고 문화가 융성해지는 사람 사는 세상이 될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대학/교육
대구가톨릭대,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액 대형 대학 중 ‘전국 1위’  
DGIST, 창립 21주년 기념식 융합교육 성과 입증  
대구한의대 중등특수교육과, 제15회 학술제·제17회 소크라테스 선서식 ‘성료’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대구가톨릭대,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액 대형 대학 중 ‘전국 1위’  
DGIST, 창립 21주년 기념식 융합교육 성과 입증  
대구한의대 중등특수교육과, 제15회 학술제·제17회 소크라테스 선서식 ‘성료’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