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만으로 좀 웃으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미디어와 인터뷰 할 때 사진 찍는 게 가장 힘듭니다. 인터뷰 중에 찍는 것은 부담이 되지 않는데 공식적인 사진을 찍을 땐 웃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웃지 않으면 안되냐고, 서양 사람들은 안 웃고도 많이 찍던데 왜 꼭 이래야 하느냐’고 강변해도 결론은 ‘웃는 게 독자들이 보기에 좋다’입니다. 동양인은 서양인의 구강 구조와 달라서 치아를 드러내는 스마일(smile)이 부자연스럽다고 말을 해도 치아를 드러내라고 합니다. 우리는 웃는 훈련이 덜 되어 있고 게다가 나이가 들수록 웃음은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잘 웃듯이 웃으면 좀 젊어 보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웃음은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웃으면 면역세포인 NK 세포가 활성화된다고 하는데 표정만 억지로 웃어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에어로빅을 할 때처럼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고 불쾌함에 대한 인내심도 증가한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 길이 나듯 노후에 웃는 습관을 만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여기에 관해 두 명의 웃음 전문가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세계적인 신경과학자 라마찬드란(V.S. Ramachandran)은 웃음의 본질에 대해 진화론적 접근에서 설명합니다. 웃음을 신호(signal)로 보는데 주변 사람들에게 저것은 가짜라는 신호를 주기 위해(false alarm theory) 웃는다고 합니다. 슬랩스틱(slapstick) 코미디를 예로 들어보죠. 길을 가는 신사가 바나나 껍질에 미끄러져 넘어졌는데 만일 머리를 부딪혀 깨졌다면 앰뷸런스를 부르고 도움을 청할 것입니다. 하지만 과일과 야채를 뒤집어 쓴 얼굴로 일어나면 다들 웃을 겁니다. 이 웃음은 주변 사람에게 ‘이 사람은 다친 게 아니니 달려 올 필요 없다’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미소도 마찬가지입니다. 원시시대에는 사람이 다가올 때 이빨을 드러내며 긴장했다가 친구인 것을 알면 미소로 바꾸는데, 이것은 ‘내가 처음 보낸 적대적 신호가 거짓이니 안심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미소를 지을 때 뇌가 안도감을 느끼는 지도 모릅니다. 웃음은 일종의 사회적 정보교환 수단인 것입니다. 2019년에 세상을 떠난 심리학자 프로바인(Robert Provine)은 웃음의 구조와 웃음의 특징을 연구했습니다. 이를 1996년에 저널 에 ‘웃음(Laughter)’이라는 제목으로 잘 정리해놓았습니다. 웃음의 구조를 보면, 사람은 ‘하-하-하’, 혹은 ‘호-호-호’라고 웃지만 ‘하-호-하-호’라고 모음을 섞어서 웃지 않으며, 끊어서 웃지 ‘하~~~~~하~~~~~~’이렇게 웃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침팬지도 웃긴 하지만 인간과 달리 숨을 내뱉으며 웃을 수 없어서 ‘아(ah)-아-아’로 웃는다고 합니다. 그는 또한 1,200가지의 자연스런 웃음을 관찰해서 인간 웃음의 특징을 정리해 놓았는데, 여기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평소에 잘 웃을 수 있을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선, 웃음은 사회적 신호기능을 하기 때문에 혼자 있을 때는 잘 웃지 않는다고 합니다. 오히려 사람들이 모여 있을 때가 혼자 있을 때보다 30배나 많이 웃는다고 합니다. 그러니 잘 웃으려면 혼자 있지 말고 일단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가야 하고, 친구, 가족, 커뮤니티 모임에 자주 가야 웃음도 많아집니다. 둘째, 사람들은 유머나 농담 혹은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을 때 웃는다고 생각하는데 통념과 달리 이런 상황에서 웃는 사람은 20%가 채 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대부분은 실없이 툭툭 던지는 말에 더 잘 웃는다고 합니다. 예컨대, ‘저기 원형이가 온다’, ‘확실해?’, ‘만나서 반갑다’, ‘내가 본 것 중 제일 멋있다’와 같이 집단 내의 감정이나 긍정적인 감정의 목소리 톤에 더 잘 웃는다는 것입니다. 셋째,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중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보다 46% 더 웃는다고 합니다. 듣는 사람이 100번 웃을 때 말하는 사람은 146번을 웃는다는 거죠. 자신은 의식하지 못하지만 이야기를 할 때 자신도 모르게 많이 웃게 됩니다. 넷째, 웃음은 전염효과(contagious laughter)가 확실히 있습니다. 1962년 아프리카 탕가니카에서 몇몇 여학생들의 웃음이 집단 전염되어 학교 등교를 금지했고 웃음의 전염은 6개월이나 지속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극단적인 예이기는 하지만 비슷한 사례를 일상에서 많이 경험합니다. TV에서 ‘녹음된 웃음소리(laugh track)’를 사용하는 것도 웃음의 전염효과 때문입니다. 웃음이 전염되려면 웃는 사람 옆에 있어야 합니다. 정리하면, 대부분의 웃음은 유머, 농담, 의도된 이야기보다 일상적인 대화에서 일어납니다. 웃음은 소통의 한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잘 웃기 위해서는 1)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가야 하고 2) 너무 멋있는 유머로 웃기려 하지 말고 만나서 따뜻한 톤의 말을 실없이 주고 받는게 나으며 3) 자신이 이야기를 하는 게 낫고 4) 잘 웃는 사람 옆에 가야 합니다. 특히 혼자 있으면 웃을 일이 없으니 유의해야 하고, 유머로 좌중을 휘어 잡겠다는 영웅적인 생각은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억지로 웃으려 할 필요도 없고 소소한 일상이 있으면 웃음도 따라옵니다. |
|
|
사람들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
영덕 업체인 세진에코 주식회사 박영숙 대표가 지난 2일 김광열 군수를 만나 교육 발전 기
|
상주 북문동이 지난 2일 회의실에서 선수단과 북문동 기관·단체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
|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