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4 14:47:14

[漢字로 보는 世上] 선시어외(先始於隗)

배 해 주
수필가

안진우 기자 / 911호입력 : 2020년 05월 03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앞 先 시작할 始 어조사 於 높을 隗
전국책(戰國策)에 실린 글이다. 가까운 데서부터 시작하라는 뜻이다. 나중에 어떤 일을 할 때 ‘나부터 시작하라’는 의미다.
전국시대 연나라는 제나라의 공격을 받아 영토의 절반을 빼앗긴 채 제나라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연나라 소왕(昭王)이 재상 곽외에게 인재를 구하는 방법을 묻자, 곽외는 이렇게 말했다.
“저는 이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옛날 한 임금이 천금을 주고 천리마를 구하려 했으나, 3년이 지나도록 구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잡일을 하는 말단 관리가 천리마를 구해 오겠다고 자청해서 그에게 천금을 주었습니다. 그 관리는 3개월이나 걸려 겨우 천리마가 있는 곳을 알아내 급히 갔으나, 애석하게도 그가 오기 전에 말은 죽어 버렸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그 관리가 죽은 말의 뼈를 오백 금을 주고 가지고 돌아오자, 임금은 매우 분노해서 말했습니다. “난 살아 있는 말을 원했다. 누가 죽은 말을 오백 금이나 주고 사 오라고 했느냐?” 그가 대답했다. “잠깐만 기다려 주십시오, 사람들은 죽은 말도 오백 금을 주고 사는데 산 말은 얼마나 비싸게 사겠느냐고 생각할 겁니다. 아마 머지않아 반드시 천리마가 들어올 것입니다” 과연 일 년도 안 돼서 천리마가 세 마리나 들어왔다고 합니다. 지금 임금께서 진정 인재를 구하시려 한다면, 먼저 저 곽외부터(先始於隗) 선생의 예로 대하십시오. 저 같은 자가 그런 대우를 받는다면, 저보다 훌륭한 자가 어찌 천릿길을 멀다 하겠습니까?”
소왕은 그의 말을 받아들여 황금대(黃金臺)라는 궁전을 세워 그를 스승으로 극진히 예우했다. 이 소식이 퍼지자 명장 악의(樂毅), 음양가의 시조인 추연(鄒衍) 등 천하의 인재들이 모여들었다. 소왕은 이들 인재의 도움을 받아 제나라를 징벌했다.
어떤 일이든 가르침을 주고자 할 때 쓰이는 말이다. 스승이 제자에게,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조직을 관리하는 사람이나 식자층이 솔선수범해서 행하라는 것이다. 너부터가 아니고 바로 나부터다.
이는 평소에도 물론 그래야 하겠지만,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더 깊이 요구된다.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일들이 연일 벌어지고 있다. 코로나19가 블랙홀이 되어 세상을 삼키고 있다. 민심이 요동치고, 경제가 말이 아니다. 국민이 불안하다.
이럴 때 국정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바로 나부터 모범을 보여야 한다. 나는 이렇게 하면서 너는 저렇게 하라는 것은 불신만을 키운다.
아플 때 맞는 매는 더 아프다. 관리나 지도자가 힘들 때 생각 없이 던지는 말 한마디, 행동 하나가 국민에게는 비수가 된다.
전염병 관련 “대구 경북을 봉쇄한다”, “대구 경북의 지도자들은 일 할 의사가 없는 것 같다”, “코로나의 기세가 잡히지도 않았는데 곧 종식될 것 같다”, “이제 경제를 살릴 때다”, “대구 손절” 등 말들이 많다.
지금 공무원이 힘들고, 현장에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고군분투하는 의료진의 사투가 고맙다. 그리고 작은 마음의 담아 보내는 정성이 빛나는 때다.
모두가 일상을 버리고 마음을 다잡고 있는 때, 이럴 때 나부터 모범을 보이지 못하고 뒷전에서 일 맛을 잃게 하는 소수의 사람, 제발 정신 좀 차렸으면 좋겠다.
특히 나부터 말 한마디라도 신중하게 하여야 할 때다. 어려울 때 서로를 이해하고 나부터 행하는 지혜가 필요한데 그때가 바로 지금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영덕 업체인 세진에코 주식회사 박영숙 대표가 지난 2일 김광열 군수를 만나 교육 발전 기 
상주 북문동이 지난 2일 회의실에서 선수단과 북문동 기관·단체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