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울 臥 섶 나무 薪 맛볼 嘗 쓸개 膽 사기의 월세가(越世家)에 실려있는 말이다. 섶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는 뜻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딤을 말한다. 춘추시대 월왕(越王) 구천(勾踐)과 절강성에서 싸워 크게 패한 오왕(吳王) 합려는 적의 화살에 부상한 손가락의 상처가 악화하는 바람에 목숨을 잃었다. 임종 때 합려는 아들 부차(夫差)에게 반드시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고 한 후 죽었다. 그 후 오왕이 된 부차는 아버지의 유명을 잊지 않으려고 ‘섶 위에서 잠을 자고(臥薪)’ 자기 방을 드나드는 신하들에게 방문 앞에서 아버지의 유명을 외치게 했다. “부차야, 월왕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때마다 부차는 임종 때 아버지에게 한 그대로 대답했다. “예, 기필코 잊지 않고 3년 안에 원수를 갚겠습니다” 이처럼 밤낮없이 복수를 맹세한 부차는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면서 때가 오기만을 기다렸다. 이 사실을 안 월왕 구천은 참모인 범려(范蠡)가 말했으나 듣지 않고 선제공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월나라 군사는 복수심에 불타는 오나라 군사에 대패하여 회계산(會稽山)으로 도망갔다. 오나라 군사가 포위하자 진퇴양난에 빠진 구천은 범려의 정략에 따라 우선 오나라의 재상 백비에게 뇌물을 준 뒤 부차에게 신하가 되겠다며 항복을 청원했다. 이때 오나라의 충신 오자서(伍子胥)가 ‘후환을 남기지 않으려면 지금 구천을 쳐야 한다’고 간했으나 부차는 백비의 진언에 따라 구천의 청원을 받아들이고 귀국까지 허락했다. 구천은 오나라의 속령이 된 고국으로 돌아오자 항상 곁에다 쓸개를 두고 앉으나 서나 그 쓴맛(嘗膽)을 느끼며 치욕을 상기했다. 그리고 부부가 함께 밭 갈고 길쌈하는 농군이 되어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여 복수의 기회를 노렸다. 그렇게 12년이 지나고 구천은 군사를 이끌고 오나라로 진격했다. 마침내 구천은 오왕 부차를 굴복시키고 치욕을 씻었다. 부차는 절강성에서 여생을 보내라는 구천의 호의를 사양하고 자결했다. 그 후 구천은 부차를 대신하여 천하의 패자(霸者)가 되었다. 정치의 계절이 도래했다. 오랜 시간 와신상담 권토중래(捲土重來)한 정치인들이 칼을 갈았다. 4년 전에 쓰디쓴 패배의 잔을 마신 사람이 있다. 반대로 그때 승자는 달콤한 권력의 맛에 취해 훌쩍 4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특정 지역구에는 두 사람이 한번은 이기고 한번은 지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두 번 지는 사람도 있다. 반면 두 번, 세 번 이기는 사람도 있다. 후자는 패자 때의 아픔을 오래 간직하며 자신과 지역구를 관리해온 사람이다. 와신상담의 쓴맛을 오래 기억하지 못하고 권력에 취해 지난 아픔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런 사람은 다시 패배의 쓴잔을 마실 수밖에 없다. 패했을 때 쓴맛을 오래 기억한 사람은 승자에서 다시 승자의 길을 가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힘겹고 아픈 지난 시간이 있다. 그러나 그 고난의 시간을 잘 견디고 이기는 사람이 승자다. 굳이 정치인이 아니라도 우리는 각자의 길에서 패하지 않고 이기는 승자의 길을 희망하고 있다. 그 승자의 길에는 와신상담의 지난 시간을 뼈아프게 느낀 사람은 오랫동안 승자의 자리에 앉아 있을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짧은 행복만이 스쳐 갈 뿐이다. |
|
|
사람들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
영덕 업체인 세진에코 주식회사 박영숙 대표가 지난 2일 김광열 군수를 만나 교육 발전 기
|
상주 북문동이 지난 2일 회의실에서 선수단과 북문동 기관·단체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
|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