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내가 깊이 깨닫고 보니,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기 보다, 환경에 더 깊은 영향을 받는 유기체인 것 같다. 사람은 자연환경보다 인적(인간적) 환경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근자에 이르러 깨치게 됐다. 문인(문필가)이 좋은 글을 쓰는 것은 문인 개인의 능력 같지만, 인간사회가 제대로 작동되어 스트레스를 덜 받아야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우리 인간사회의 부조리는 작가의 창작 능력까지 저해하는 만큼, 우리 사회 구성원들은 남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올곧게 살아야 한다. 시 창작에 종사한지 54년을 헤아리고 보니, 젊은 시절의 비교적 긴 시보다 경귀나 속담같이 짧은 시에 주목하게 되었다. 내가 최근 짓는 시는 열줄(十行) 이내로 쓰는게 몸에 배었다. 열줄 이내로 써도 못다한 말은 없고, 할말을 충분히 다했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문인협회 문경지부는 경상북도 23개 시·군 중에 지부 창립 순위가 세 번째다. ①경주지부 ②안동지부 ③문경지부다. 문경 문협지부는 필자(김시종)가 1976년 5월 30일에 창설을 했다. 당시 한국문인협회 지부 설립요건은 한국문인협회 중앙회원이 3명이상 거주해야 하는 조건 때문에 당시 전국 문인숫자가 700명 밖에 안되었기 때문에, 도내 시·군에는 중앙회원 1명도 안사는데가 2/3가 넘었다. 내가 한국문인협회 문경지부 창설을 주도한데는 지역문학 발전의 큰 뜻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문인(文人)에게는 지면(知面)보다 문예작품을 발표하는 지면(紙面)이 더 절실히 필요했다. 필자는 문협 문경지부를 창설한 뒤 7개월만에 국판 100쪽의 백화문학(白華文學)을 창간 1천부를 발행했다. 출판비는 필자(지부장 김시종)의 중·고등학교(문경중·문경고) 동기동창인 윤필태 명예지부장이 전액 부담하여, 창간이 가능했다. 올해(2020년)도 연간(年刊)인 백화문학이 47호(47집)을 펴내게 됐다. 문인협회 문경지부는 ‘백화문학 47집’, ‘문경문학 15집’ 등 300쪽 넘는 문예지를 매년 2종이나 내고 있다. 얼마전(6월 30일)에 펴낸 문경문학 15집에 발표된 필자(김시종)의 단시 3편을 보여 드리겠다.
늙은 내게
늙은 내게 젤로 효자는 아들이 아니라 지팡이다. 늙은 내게 조강지처는 아내가 아니라 신사임당(고액권)이다. 단평(短評):늙을수록 건강해야 하고, 가진게(돈)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개사육 최고명언(最高名言)
안 먹으면 먹게 하라.
부부싸움 필승비결
매번 지는 것이, 매번 이기는거야. |
|
|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
대학/교육
대구가톨릭대,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액 대형 대학 중 ‘전국 1위’ |
DGIST, 창립 21주년 기념식 융합교육 성과 입증 |
대구한의대 중등특수교육과, 제15회 학술제·제17회 소크라테스 선서식 ‘성료’ |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대학/교육
대구가톨릭대,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액 대형 대학 중 ‘전국 1위’ |
DGIST, 창립 21주년 기념식 융합교육 성과 입증 |
대구한의대 중등특수교육과, 제15회 학술제·제17회 소크라테스 선서식 ‘성료’ |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