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립민속박물관은 박물관 학술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12년부터 안동지역의 마을을 조사·연구해 ‘마을 민속지’ 간행 사업을 연차적으로 진행해 오고 있다. 지난 2013년 제1집 ‘전통과 혁신의 마을, 내앞’을 시작으로 제2집 ‘전통과 역사의 마을, 조탑’, 제3집 ‘전통과 상생의 산촌마을, 신전’, 제4집 ‘천지갑산이 굽어보는 마을, 송제’, 제5집 ‘전통과 조화의 큰 마을, 금소’, 제6집 ‘심씨 할매와 삼베, 농요의 마을 저전’, 제7집 ‘마곡서당과 당고사의 마을, 사신’을 발간 및 배포했으며, 금년도에는 도산면 원천마을 사람들의 공동체 생활 문화와 민속을 조사·연구한 결과물인 제8집 ‘수몰을 거슬러 역사를 사랑하는 마을, 원천’을 발간했다. 안동시 도산면에 위치한 원천마을은 크게 원촌과 내살미로 구성돼 있다. 원촌마을은 퇴계 이황의 5대손인 원대처사(遠臺處士) 이구(李榘, 1681~1761)가 원촌마을에 입향한 이래로 진성 이씨가 대를 이어 살고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원촌마을의 진성 이씨들은 일제강점기에 항일독립운동과 애국계몽운동 뿐만 아니라 안동지역 내 기독교의 전파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진성 이씨, 봉화 금씨, 경주 김씨 등이 함께 살고 있는 내살미는 우리나라 구곡문화를 대표하는 도산구곡 중의 6곡이자 예안 14곡의 하나로 기록됐을 정도로 풍광이 뛰어나며 다양한 문화적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마을이다. 마을 민속지 제8집 ‘수몰을 거슬러 역사를 사랑하는 마을, 원천’은 304쪽 분량으로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의 주민들이 300여 년 동안 이루어온 마을공동체의 역사와 문화를 현재 시점에서 다뤘고, 마을의 역사와 경관, 문중조직과 활동, 세시풍속, 민속신앙, 축제와 놀이, 여성의 일상과 여가, 전설, 음식문화, 주거문화, 그리고 이육사의 시 등 10개 분야에 대해 전문 연구자들이 현장을 조사하고 연구한 성과를 수록했다. 안동시립민속박물관은 “원천마을을 심층적으로 조사·연구한 이 책을 통해 도시화의 산업화의 영향으로 점차 사라져가는 마을 공동체 문화를 되새겨 보는 계기를 마련하고 향후 안동지역 마을 민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에 발간한 마을 민속지는 국·공립박물관 및 도서관 등 관계기관에 배포하고, 마을공동체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 및 일반인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안동민속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서비스할 예정이다. 조덕수 기자 |
|
|
사람들
경주시 황성동 환경보호협의회가 지난 22일 황성동 공영주차장과 공동주택 일대에서 환경정비
|
경주시 월성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꼼꼼복지단은 지날 27일 ‘APEC 클린데이’에 참여해
|
울진 후포면이 지난 27일 맨발걷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실시했다.
|
영주2동 통장협의회가 28일 회원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중앙선 철도하부공간 일원에서
|
청도시화라이온스클럽이 지난 27일 여름 김장김치 100통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해 달라며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칼럼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