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4 22:30:04

'수백 년 아름드리 산림 순식간에 잿더미로'

영덕산불 진화했지만 ... 산림 400㏊나 피해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1333호입력 : 2022년 02월 19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딱 한 번의 산불에도, 수십 년 또는 수백 년의 아름드리 산림이 순식간에, 잿더미로 변한다. 더구나 1~2월에는, 어느 지역이든, 산불이 잘나는 계절이다. 

지난 1월 기상청 중기예보에 따르면, 올 1월 들어 13일까지 전국에 35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17.16ha의 산림이 화마에 휩싸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은 20건, 15.60ha, 10년 평균은 11건, 23.36ha로, 산불 피해 면적은 적지만 건수가 많았다. ‘피해면적이 적지만’ 운운은, 산림 당국의 매우 안이한 자세가 아닌가 한다. 

지난 1월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에 따르면, 새해 들어 이날까지 전국적으로 25건의 산불이 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5건의 1.7배, 10년 간 평균(2012∼2021년)인 8건의 3배에 달하는 수치였다. 

지난 2월 산림 당국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20분경 경북 안동 임동면 망천리 야산에서 불이 나, 5시간 넘게 주변으로 계속 번졌다. 2020년 산림청과 경북도에 따르면, 안동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축구장 1,000개 면적의 산림을 태웠다.

지난 16일 오전 발생한 영덕 산불이 36시간여만인 17일 오후 2시경 주불 진화에 성공했다. 산림 400㏊가 피해를 입었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이날 오후 2시 기준 주불 진화에 성공해, 진화율 100%에 이르렀다. 산림청과 소방당국, 경북도는 이날 오전 7시부터 산불 진화 헬기 40대와 2,000여 명의 인력, 장비 184대를 투입, 산불 진화에 온 힘을 다했다. 

당초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10시 경 완진이 목표였다. 예상보다 4시간가량 늦었다. 불이 꺼짐과 동시에 되살아나는 상황이 반복됐다. 주불 진화에 성공한 산림당국은 일몰 전까지 헬기 12대와 야간 열화상 드론 2대를 잔불 정리 작업에 투입했다. 바람은 초속 2.9m로 강하지 않았다. 하지만 언제 다시 타 오를지 알 수 없다.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다. 

앞서 지난 16일 오전 2시 18분경 영덕 영덕읍 화천리 산 80-5일원에서 산불이 재(再)발생했다. 불은 초속 10m가 넘는 강풍을 탔다. 발화지에서 동쪽으로 번져, 영덕 화림산을 집어삼키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 

영덕주민 1,285가구 2,160명이 경로당이나, 마을회관으로 긴급 대피하기도 했다. 화재 발생 이후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8시 25분경 ‘산불 2단계’를 발령했다. 이후 낮 12시 45분 경 다시 ‘산불 3단계’를 발령했다. 산불의 예상피해가 100㏊이상, 평균 풍속 초속 7m이상일 경우, ‘산불 3단계’가 발령된다. 관할 기관이 보유한, 인력·장비·헬기가 모두 투입됐다. 인접기관에서도 인력과 장비를 50%투입하는 조치다.

소방청에서도 이날 오전 8시25분을 기해, 전국 동원령 1호를 발령했다. 오후 4시 50분경ㄹ 2차 동원령을 발령하는 등의 산불 진화에 전국 자원을 투입했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에도 강풍 등의 영향으로 일몰 전까지 산불 진화에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산불현장지휘본부는 오후 8시를 기점으로 공무원 250명과 전문 진화대 257명 등 총 707명을 현장에 재배치해, 방화선를 구축했다. 진화에서 산불 확산 저지로 대책을 선회했다.

산림 당국은 일출시간인 지난 17일 오전 7시경 다시 헬기 40대와 산불진화 인력 2,395명을 전면 투입해, 산불 진화에 온 힘을 다했다. 오후 2시경 진화율 100%, 주불 진화에 성공했다. 

주불 진화 이후 최병암 산림청장은 현장 브리핑에서 단일 산불의 경우 산불 진화 헬기 40대를 투입한 것은 최근 10년 내 유일하다. 영덕하늘을 산불진화 헬기로 덮을 정도였다. 이 정도면, 큰 불이다. 

본지의 보도를 따라가면서, ‘발화에서 진화까지’를 읽으면, 무슨 스토리(story)같다. 산불이 나는 시기는 거의 정해져 있다. 그때가 바로 이때다. 이번을 계기로 ‘산불진화 헬기’와 ‘각종 첨단장비·전문 인력’을 갖춰야 한다. 이러지 않으면, 산불은 발화에서 진화로 이어지는 스토리가 된다. 

산불은 스토리가 아니다. 역사인 히스토리(history)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