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4 22:32:39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도시' 안동시

세계 유력 외신 11개매체 기자 방문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 1390호입력 : 2022년 05월 18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안동시는 한국 선비의 고장이다. 또한 세계유산의 도시다. 일제강점기엔 독립운동의 본거지였다. 2019년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이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안동 병산서원과 경주 옥산서원은 세계유산 2관왕이 됐다. 2010년 ‘한국의 역사마을’에 이어 9년 만에 또다시 등재됐다. 

병산서원(屛山書院)과 옥산서원(玉山書院)은 각각 하회마을, 양동마을에서 거리가 10㎞가 되지 않는다. 두 서원이 배향한 주요 인물인 서애 류성룡(1542∼1607)과 회재 이언적(1491∼1553)은 각각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에 거주했다. 임청각(臨淸閣)은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2호 안동 임청각정침군자정으로 지정되었다가, 2002년 9월 25일 안동 임청각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상하이 주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의 집이다.

임청각에서 이상룡 등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일제 관헌이 1942년에 집 앞마당과 집 일부를 철거했다. 현재 임청각 중앙선 철로 철거가 완료되고, 임청각 복원·주변 정비 사업이 속도를 낸다. 임청각은 나라와 민족 독립의 가문이다. 상해임시정부를 이끌며, 국가원수에 해당하는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1858-1932)이 태어난 곳으로 유명하다. 그의 아들, 손자 등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하는 등 3대에 걸쳐서 독립운동을 한, 독립운동의 산실이다.

지난 17일 프랑스 대표적 통신사인 AFP, TBS 동경방송, NNA Japan, 중국 인민일보, 베트남 뉴스 에이전시, 카자흐스탄 Karbar24 등 총 6개국 11개 매체 20여 명이 안동을 찾았다. KTX-이음 고속열차를 타고 청량리를 출발해 안동에 도착, 안동 문화를 탐방했다. 

안동은 한국 전통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곳이자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 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성지다. 임청각은 일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한 국무령 이상룡의 생가이자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상징적 공간이다. 임청각은 지난 2020년, 중앙선KTX 개통으로 기존 철로가 철거되면서, 80년 만에 옛 모습을 찾아간다. 지난 2018년 임청각 복원 종합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280억 원의 예산으로 2025년까지 복원을 완료한다. 임청각 등 문화재를 보수한다. 가옥 2동도 복원한다. 주변은 주차장 및 편의 시설로 정비된다. 이와 함께 독립운동의 역사문화를 계승한다. 문화·관광·교육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역사문화 공유관도 건립한다.

안동시는 전통문화 도시를 기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 환경으로 탈바꿈한다. 최근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공모사업인 ‘2022년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에 선정됐다. 사물 인터넷(IoT)과 같은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정류장 등 스마트 솔루션을 도입한다. 

이 날 안동을 방문하는 외신기자단 일행은 임청각 복원사업과 중앙선 철도 공사에 대한 정책 브리핑을 듣고, 현장을 둘러 봤다. 오후 2시 상설 공연 하회별신굿 탈놀이를 관람했다. 권영세 안동시장은 외신기자들을 만나, 안동은 5개의 세계유산을 보유한 글로벌 관광거점 도시임을 소개했다. 이어 역사와 전통이 살아있는 문화도시이자 지역관광 거점 도시인 우리 지역에 최신 스마트기술을 접목해, 도시 경쟁력을 갖춘 지속 가능한 도시로 조성한다.

여기서 임청각 복원 문제는 현재의 모습대로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고 여긴다. 일제가 임청각에서 독립운동가가 지속해서, 돌출하다시피 나오니, 오죽 답답했으면, 풍수설에 의지하여, 임청각을 반 토막을 냈을까. 현재의 임청각을 보존 처리만하여, 우리 독립운동의 산실로써 살려두자. 살려둬, 한국의 영원한 독립운동역사로써, 일제의 만행을 세계인들에게 알리는 것이, 한 민족의 자존감과 독립운동의 역사를 살리는 길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