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보현산댐 짚 와이어. |
|
|
 |
|
↑↑ 화랑설화마을 전경. |
|
|
 |
|
↑↑ 영천사랑 상품권. |
|
|
 |
|
↑↑ 영천사랑 카드. |
|
|
 |
|
↑↑ 설 명절엔 재래시장 장보기가 제 맛 이다. 사진은 지난 추석 장보기 행사 모습. |
|
|
 |
|
↑↑ 별빛테마마을 야영장 야경. 별이 쏟아진다. |
| 올해 설 연휴는 4일이다. 설 당일이 일요일이 되면서 화요일이 대체휴일로 주어졌지만 꽉 막힌 고속도로 위에서의 귀성(경)길을 생각하면 벌써부터 가슴이 답답해진다. 그래도 계묘년 새해가 밝고 처음 맞이하는 길고도 짧은 연휴를 아무렇게나 보낼 수는 없다. 어떻게 보내면 '명절 연휴 잘 보냈다'소문이 날까.
영천시는 지속되는 코로나와 고금리, 고물가 등 어려운 경제상황이지만 시민과 귀성객이 설 연휴를 즐겁게 보낼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믿고 살 수 있는 품질 좋은 설 선물 준비부터 가족들과 좋은 추억을 쌓을 수 있는 관광지 개방까지 설 명절 영천 활용법에 대해 소개한다.
◇별빛촌장터 최대 20% 할인, 설 맞이 할인행사
영천시는 설을 맞아 농특산물 온라인쇼핑몰 ‘별빛촌장터(01000.cyso.co.kr)’에서 오는 20일까지 설맞이 할인행사를 진행한다.
행사 기간 중 별빛촌장터에서는 샤인머스켓, 쌀, 와인, 꿀, 전통장류 등 약 70여 품목의 영천시 우수 농특산물을 최대 20% 할인된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신규 회원 가입 시 2000원 할인쿠폰을 발급하며,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무료배송 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강수량이 적고 일조량이 풍부해 당도 높은 과일을 생산하기에 적합하다고 명성이 나있는 영천이니 만큼, 단연 과일 주문이 많다. 오는 15일 이후에 주문한 건에 대해서는 설 명절 이후에 배송될 수 있으니 과일 선물을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서둘러 구매하길 바란다. 주는 이도 받는 이도 만족할만한 설 선물이 될 것이다.
◇영천사랑상품권·카드로 선물·제수용품 구입 영천시는 고물가 상황 속 영천사랑상품권과 영천사랑카드를 연중 10% 특별할인 판매한다. 이는 특히, 설 선물과 제수용품 구입에 드는 가계 부담을 해소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류형 상품권인 영천사랑상품권은 관내 농협, 지역 농·축협, 대구은행, 새마을금고, 신협을 비롯한 42개 금융기관에서 구매할 수 있고, 카드형 상품권인 영천사랑카드는 관내 농협, 지역 농·축협, 새마을금고, 우체국, 신협, 한국조폐공사 앱(지역상품권 Chak)에서 발급하여 충전 할 수 있다.
사용은 영천사랑상품권 가맹점·영천사랑카드 가맹점(약 3,436여 개소)에서 가능하며, 가맹점은 영천시청 홈페이지(분야별정보-경제-지역경제-영천사랑상품권·영천사랑카드 가맹점) 또는 ‘지역상품권 chak’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총 900억에 대해 특별할인을 진행 할 예정이며 관련 예산이 소진되면 자동 종료된다. 단, 지류 상품권의 부대비용을 절감하고 부정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지류와 카드 간 구매한도를 조정하여 1인당 월 지류형 30만 원, 카드형 70만 원으로 총 100만 원 한도(기존 월 지류 50만 원, 카드 50만 원)로 판매한다.
◇삶의 터전 영천전통시장 방문 ‘또 다른 재미’ 영천공설시장은 넉넉한 인심과 저렴한 지역 특산품으로 지역민에게는 정겨운 삶의 터전인 동시에 방문객들에게는 전통시장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제철 과일부터 싱싱한 생선과 건어물, 고소한 기름 냄새가 코를 자극하는 방앗간까지 사람들의 발길 잡는 것들이 가득하지만, 특히 영천 돔배기는 인근 지역에서까지 구입하기 위해 방문한다.
돔배기는 ‘간을 친 토막 낸 상어고기’라는 뜻의 경상도 사투리로 영천 돔배기는 특히나 육질이 담백하고 부드러우며 특유의 감칠맛과 고소한 맛이 있다. 보통 명절이나 제사상에 올리는 대표 생선으로 간과 폐에 좋고, 단백질이 많고 지방이 적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손색이 없다.
시장 구경에 허기가 찾아오면 역사와 전통을 지닌 곰탕 골목으로 가면 된다. 수많은 가게들이 하나같이 문전성시다. 찬바람이 불어볼 때면 더욱 생각나는 곰탕은 커다란 무쇠 솥에서 뽀얀 국물을 우려내, 구수하고 깔끔하다. 방송사는 물론이고 신문이며 잡지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여러 번 소개 될 만큼 영천장의 대표 먹거리다.
◇설 연휴에도 운영 영천 관광지, 취향대로… -화랑설화마을 금호읍 일원에 천년 역사를 가진 화랑과 별의 설화를 테마로 조성된 화랑설화마을은 설 당일을 제외하고 정상 운영된다.
화랑도를 기반으로 김유신 장군, 화랑설화, 풍류 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신화랑우주체험관, 화랑배움터, 4D돔 영상과 국궁체험장이 갖춰져 있다.
그린스테이션, 정자와 파고라 등 넓은 휴게·외부공간은 가족들과 산책하기 딱이다.
-한의마을 한의마을 또한 설 당일을 제외하고 정상 운영된다. 국산 한약재의 집산지인 영천의 한방테마 전시·체험시설로, 오장육부(五臟六腑)를 형상화하여 꾸민 한옥단지 속 유의기념관, 한방테마거리, 한옥체험관, 스카이워크 전망대 등 많은 볼거리가 있어 한방 도시 영천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보현산 천문과학관 별이 가득한 인생 샷 명소로 유명한 보현산 천문과학관은 아이, 연인과 함께 방문하기 좋은 관광지다.
관측실, 돔영상관, 시청각실 뿐 아니라 로켓탑승과 발사체험도 할 수 있다. 탁 트인 전망과 반짝이는 별에 어른들은 가슴 설레는 옛 추억을 떠올리고, 아이들은 새로운 추억을 쌓을 수 있다. 올 설 연휴에는 23일과 24일만 운영된다.
-보현산댐 짚와이어 짜릿한 스릴과 시원한 바람을 즐기고 싶은 사람들은 보현산댐 짚와이어에 가보자.
길이 1.4km, 2개 라인으로 최고 하강 속도가 시속 100km를 넘는 구간이 있고, 보현산댐을 횡단하며 발아래 아름다운 호수와 마을이 눈 앞에 펼쳐진다. 모노레일을 타고 짚와이어 출발지에 올라서보자. 시원한 공기에 가슴이 탁 트일 것이다. 보현산댐 짚와이어는 설 당일을 제외하고 정상 운영된다.
-그 외 치산관광지캠핑장과 운주산승마자연휴양림, 보현산별빛테마마을 야영장은 연휴 기간 정상 운영되며, 보현산 별빛 테마마을 펜션은 23일과 24일만 운영되니 연휴기간 가족, 친구들과 1박 이상의 숙박계획이 있는 경우 참고하기 바란다. 김경태 기자 |
|
|
사람들
재대구 군위향우회봉사단이 지난 24일 군위읍 용대리 경로당을 방문해 짜장면 나눔 봉사활동
|
청통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무더위의 끝자락인 처서를 맞아, 25일 관내 취약계층의 기력
|
상주 은척면이 지난 22일 정기 기부에 동참하고 있는 조정열 가정에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사)대한노인회 청송지회 제17대 회장에 심종택 현 회장이 무투표 재선됐다.
|
성주 초전면이 25일 면 행정복지센터 민원실에서 초전파출소와 함께 폭언·폭행 등 특이민원
|
대학/교육
DGIST, 스트레처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개발 |
칠곡경북대병원 이인희 교수,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우수연구자상 수상 |
영남대병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8회 연속 1등급 |
대구한의대,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공식 시험장 운영 |
대구 공업대 골프레저과, 2025 여름방학 골프 특화 특강 |
계명대 장준하 선수, 유스세계양궁선수권대회 ‘금·은메달' |
계명문화대 유아교육과, 교육부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선정 |
계명대 김익현 교수 연구팀, 영국왕립화학회 학술지 표지 논문 선정 |
계명대,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 성료 |
대구 교육청, ‘2025년 글로벌 교육수도 대구 페스티벌’ 성료 |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DGIST, 스트레처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개발 |
칠곡경북대병원 이인희 교수,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우수연구자상 수상 |
영남대병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8회 연속 1등급 |
대구한의대,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공식 시험장 운영 |
대구 공업대 골프레저과, 2025 여름방학 골프 특화 특강 |
계명대 장준하 선수, 유스세계양궁선수권대회 ‘금·은메달' |
계명문화대 유아교육과, 교육부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선정 |
계명대 김익현 교수 연구팀, 영국왕립화학회 학술지 표지 논문 선정 |
계명대,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 성료 |
대구 교육청, ‘2025년 글로벌 교육수도 대구 페스티벌’ 성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