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문인화가 松岸 서보영 작가 첫 개인전<경주시 제공> |
|
|
 |
|
↑↑ 문인화가 松岸 서보영 작가, 경주예술의 전당 4층 대전시실에서 생애 첫 개인전<경주시 제공> |
| 20대 초반 붓과 먹을 만나 40년이 훌쩍 넘게 서예와 문인화에 정진해 살아온 문인화가 송안(松岸) 서보영 작가가 지난 7일~오는 12일까지 경주예술의 전당 4층 대전시실에서 생애 첫 개인전을 열고 있다.
경주가 고향으로 대학 시절에 심천(心泉) 한영구 서예가로부터 서예를 배우기 시작한 서 작가는 지난 40년이 넘는 세월을 오롯이 서예와 문인화에 정진해 왔는데 그동안 단체전에는 여러 차례 출품했지만 개인 전시회는 처음이라 이번 개인전은 더욱 뜻 깊은 자리가 되고 있다.
한글과 한문 서예를 접한 뒤 17년 만에 문인들이 즐기던 분야인 수묵담채를 아우르는 문인화에 매료돼 많은 시간을 할애해 오다 25년 전부터는 오직 후진 양성에 몰두하고 있다.
그동안 성건동과 충효동의 송안 서예문인화연구소를 거쳐간 후진 수만도 수백여 명에 이른다.
반월성의 사계절 경치에 반해 매화와 난초, 국화와 대나무와 소나무를 그리는 등 문인화에 빠져 살아온 서 작가는 “서예와 문인화와 함께 한 세월이 길었지만 행동은 물론 말주변이 없어서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는 못했습니다”라고 자신을 낮췄다.
서 작가는 (사)한국서가협회 자문위원으로, 상임위원과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경북도청소년지도자대상 등을 수상하고 중국 북경시와 일본의 우사시와의 서예교류전에도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가로 10m 세로 2m 짜리 매화도를 비롯해 가로 2.7m 세로 35cm 크기의 임제록(臨濟錄)등 모두 100여점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한편 이날 오전 11시에 열린 개막식에는 한윤숙 한국서가협회장을 비롯해 김성학 경주 부시장과 이동협 경주 부의장은 물론 서예 스승인 한영구 서예가 등 지역의 많은 문화예술인들이 참석해 서 작가의 첫 개인전을 축하했다. 김경태 기자 |
|
|
사람들
경주시 황성동 환경보호협의회가 지난 22일 황성동 공영주차장과 공동주택 일대에서 환경정비
|
경주시 월성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꼼꼼복지단은 지날 27일 ‘APEC 클린데이’에 참여해
|
울진 후포면이 지난 27일 맨발걷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실시했다.
|
영주2동 통장협의회가 28일 회원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중앙선 철도하부공간 일원에서
|
청도시화라이온스클럽이 지난 27일 여름 김장김치 100통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해 달라며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칼럼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