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낙영 경주시장은 8일 시청 대외협력실에서 파벨 파찰(사진 좌측) 체코 트레비치 시장을 접견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주시 제공> |
| 한수원이 8조 원 규모 체코 신규 원전 수주사업에 최종 입찰서를 낸 가운데, 신규 원전이 들어설 체코 지역 관계자들이 경주를 찾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체코 트레비치시는 신규원전 건설지인 두코바니 원전 소재지로 한수원과 대한민국 정부가 K-원전 수주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도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지난 8일 시청 대외협력실에서 파벨 파찰(Pavel Pacal) 체코 트레비치 시장 등 대표단을 접견하고 두 도시 간 교류를 확대하기로 했다.
대표단은 경주시와의 교류 확대와 한수원 및 원전시설을 시찰하기 위해 6박 7일 간의 일정으로 방한했다.
파벨 파찰 체코 트레비치 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은 비체슬라브 요나쉬 두코바니 지역협의회 회장, 페트르 슈메이칼 트레비치 상공회의소 회장 등 트레비시치를 대표하는 인사들로 구성됐다.
트레비치시는 유대인 묘지, 유대인 지구와 성 프로코피우스 바실리카 등유네스코 등재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등 경주시와 여러모로 닮은 꼴이다.
앞서 경주시와 트레비치시는 이 같은 역사·문화·산업적 공통점을 배경으로 우호도시 협정을 지난 8월 18일 체코 현지에서 체결한 바 있다.
이날 주낙영 시장을 예방한 트레비치시 대표단은 전날인 7일 늦은 오후 경주에 도착해 호텔에서 숙박을 한 후 다음날부터 공식 일정에 나섰다.
먼저 8일 오전에는 경주역사지구를 시찰하고 오후에는 불국사를 방문했다.
또 이날 저녁에는 경주시가 주최한 환영만찬에 참석해 양 도시 간 우호를 다졌다.
다음날 9일에는 △양동마을 시찰 △경주상공회의소 주최 오찬간담회 참석 △국립경주박물관 시찰 △교촌한옥마을 시찰 △경주시의회 주최 환송만찬 등의 일정을 소화한다.
이어 대표단은 오는 10일~13일까지 한수원 및 새울원전 등을 둘러 볼 예정이다.
경주시는 한수원이 체코 신규 원전 수주에 주력하고 있는 만큼, K-원전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기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파벨 파찰 트레비치 시장은 “주낙영 시장을 비롯한 시민의 따뜻한 환대에 감사드린다”며 “경주시가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2025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와 성공적인 개최를 응원한다”고 밝혔다.
주낙영 시장은 “경주시는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관광도시일뿐 아니라,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의 본사가 있는 원전산업 도시로, 향후 경주와 트레비치 간 협력이 기대된다”며 “체코에서 한수원의 원전수주가 성사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김경태 기자
|
|
|
사람들
울진 매화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9일 소외 계층 이웃을 위한 ‘5월 마음담은 김치반찬
|
㈜에이아이정보기술 이상돈 대표가 지난 9일 예천군청을 방문해 고향사랑기부제에 360만 원
|
영양 수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영양산나물 먹거리 한마당 기간에 먹거리부스를 운영,
|
영천교육지원청은 지난 9일, 영천여자고등학교 정문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 금
|
상주 낙동면이 지난 9일 화산1리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준공식을 열었다.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