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년고도 경주 지진 평온 회복, 황리단길 등 유명 관광지 인산인해
황리단길·대릉원, 올 1월~12월 1일까지 1,473만 명 관광객 방문 11월 30일~12월 1일까지 3만 1,397명 방문, 평상시 63% 육박 첨성대·동궁과월지, 보문단지 등 관광명소 평시처럼 관광객 운집
김경태
기자 / 1752호 입력 : 2023년 12월 03일
|
 |
 |
 |
 |
 |
|
|
 |
|
↑↑ 경주 첨성대 관광 전경<경주시 제공> |
| 경주가 지난 30일 오전 4시 55분 경 4.0 규모의 지진에도 불구하고 하루 사이 일상을 되찾으면서 여전히 관광도시 유명세를 타고 있다.
경주 도심 젊은이들의 핫플레이스인 황리단길과 21년 만에 무료 개방한 대릉원에 올 1월~ 지난 1일 까지 1,473만 2,033명(외국인 190만 명 정도)이 방문했으며, 올 9월까지 경주방문객 3,600만 여명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지진 발생 11월 30일~12월 1일까지 3만 1,397명이 다녀가는 등 평상시 일평균 5만 대비 63%를 육박하는 만큼 지진으로 경주 관광 불안은 기우에 불과하다.
세부적으로 황리단길은 올해 1월부터 12월 1일 현재 까지 1,349만 2,430명이 방문했고, 지진 발생 11월 30일에는 14,223명, 12월 1일에는 12,563명 등 26,786명이 다녀갔으며, 대릉원 또한 올 1월부터 12월1일 현재까지 123만 9,603명이 다녀갔으며, 지진 발생 11월 30일에는 2,526명, 12월1일에 2,085명 등 4,611명으로 확인됐다.
위 수치는 스마트관광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하면서 정확한 관광객 추이를 파악하여 관광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관광객 무인계측기(황리단길 31대, 대릉원 15대)에 실시간으로 체크된 데이터로 중복입장을 가려낸 수치다.
경주 황리단길은 2015년부터 지역 상인들이 옛 모습을 근간으로 젊은 층이 선호하는 개성 넘치는 가게를 열기 시작하면서 황리단길이 위치한 경주 황남동의‘황’과 이태원 경리단길의‘리단’을 합쳐 민간차원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했다.
전통과 골목 퓨전 상권이 공존하며, 레트로적인 외관과 개성 있는 다양한 콘텐츠와 핫한 카페와 즐비한 맛집, 한옥 숙박 등 독특한 언더스타일의 500여개 상가 입주한 경주의 대표 골목상권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SNS와 젊은이들의 입소문 등을 통해 전국의 관광객들이 몰려오는 경주 관광의 핫플레이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황리단길 배후에는 대릉원, 봉황대, 첨성대, 동궁과월지, 월성, 교촌마을, 월정교, 오릉 등 경주 도심의 대표적인 관광명소가 즐비하여 경주관광의 다양한 정서를 느낄 수 있어 전국적인 유명세를 타고 있다.
시에서는 더 매력적인 황리단길을 가꾸기 위해 황남동 마을해설사의 집 운영, 소공원 조성, 전선 지중화, 교통․보행환경 개선, 생활문화센터와 음악창작소 건립, 웹툰캠퍼스, 골목 디자인 벽화 등 H/W를 대폭 보강하여 관광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경주의 대표 관광지인 보문단지 역시, 지진 피해는 전혀 없이 평시처럼 관광 ․여행객들의 회의(연회) 및 투숙 취소 등 없이 운영되고 있다.
주낙영 시장은 “갑작스런 지진으로 짧은 시간 불안감은 있었지만, 첨성대 등 주요 문화재는 물론 원전, 중저준위방폐장, 교량, 상․하수도, 아파트 단지 등 공공·민간시설에 단 1건의 피해가 없으며, 황리단길, 대릉원, 보문단지 등 주요관광지에도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등 평온을 되찾았다”며 안전경주를 적극 홍보했다. 김경태 기자 |
|
|
사람들
청송군에 지난 12일, ㈜얼라이드시스템이 산불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위해 1,000
|
상주시가 전통향토음식아카데미 전통음식 과정교육을 12일~오는 26일까지 매주 월ˑ금요일
|
대한노인회 서울 강동지회가 산블 피해 의성 이재민을 돕기 위해 성금 900만 원을 기탁했
|
지난 9일 구미 산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20여 명이 취약계층 25가구를 대상으로 반찬
|
구미 선산출장소가 지난 12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옥성 소재 복숭아 농가 두곳을 찾아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국립경국대-한국전기연구원, 학·연·산 협동 과정 설치·연구 교류 ‘맞손’ |
국립경국대, 한국화훼학회 ‘공로상 및 우수학술발표상’ 수상 |
유천초, 청도소방서 초빙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
경산 교육청, 교육복지안전망 '지구별 가족, 행복캠프' 운영 |
대구보건대 우수학생클럽, 의성 산불 피해 지역서 진로체험 교육 나눔 |
제43회 경북청소년과학탐구대회 문경 예선 |
DGIST 엄지원 교수팀,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화장품 기업 10곳 업무협약 |
계명대 동산병원·칠곡경북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동시 선정 |
영남이공대, 경북공고 재학생 대상 ‘FUN진로 JOB체험’ 성료 |
|
|
|